•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조병국 “내년 총선 앞둔 정치성 보도 아닌가?”



자유한국당 조병국 경기도 전략기획위원장이 파주바른신문의 보수 정치인의 북한군 추모 헌화는 괜찮은가?’라는 18일자 보도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조 위원장은 취재진에게 전화를 걸어 “20121226일 한 단체의 초청으로 적군묘지에 간 사실이 있다. 그러나 추모제를 한 것이 아니라 묵념과 헌화를 한 것이다. 그리고 북한군 묘역이 아니라 중국군 묘역에서 헌화를 했는데 무슨 근거로 북한군에게 묵념과 헌화를 했다고 보도하는 것인가? 내년 총선을 앞둔 정치성 의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조병국 위원장의 지지자 오 아무개 씨도 전화와 글을 통해 “2012년 그 당시는 중국군이 묻혀 있던 곳으로 박근혜 대통령 때 중국으로 모두 송환하여 지금은 북한군, 그것도 김신조 등 무장공비들만 남아 있다.”라며 조 위원장이 묵념과 헌화를 한 장소는 중국군 묘역이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현재 북한군·중국군 묘역은 제1묘역과 제2묘역으로 나뉘어 있다. 1묘역에는 무장공비를 비롯 남파 간첩 등의 유해가 안장돼 있고, 2묘역에는 북한군과 중국군 유해가 묻혀 있었던 것을 201212월 국방부가 비목과 봉분으로 된 무덤을 평분 석묘로 재단장했다.

 

 국방부의 적군묘지 정화사업으로 제2묘역은 총 389기의 석묘로 재단장됐고 이중 중국군 유해는 89기였다. 이후 2013년부터 20195월까지 석묘 10기가 늘어나 현재 총 399기의 석묘가 있으며, 중국군 유해는 2014328일 본국으로 송환돼 빈 석묘 89기만 남아 있다.

 

따라서 조병국 위원장은 석묘로 재단장 되었을 때인 20121226북중군묘지평화포럼의 초청을 받아 제2묘역에서 묵념과 헌화를 했음에도 중국군 묘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당시 북중군묘지평화포럼사회자는 조병국 위원장을 중요한 분이 한 분 오셨다. 요새 나하고 아주 절친하게 지내는 내 친구가 파주에 와서 동갑내기 조병국을 만났다. 사실 여기 모인 우리는 모두 타향이지만 조병국은 여기가 고향이다.”라고 소개했다.

 

파주바른신문은 조병국 위원장이 박정 국회의원의 인민군 추모제와 나의 북한군 헌화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라고 주장한 것과 중국군의 추모는 괜찮고 북한군은 절대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집중취재 보도할 예정이다.


오늘의영상





[사진이야기] “시장님 빼고 찬성하는 사람 있나요?” 사진은 뿡뿡이, 번개맨, 펭수, 두다다쿵 등 EBS 캐릭터가 있었던 파주읍 연풍리 용주골의 연풍경원 모습이다. 파주시가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조성한 것이었다. 연풍경원은 파주읍에 있는 어린이집, 유치원 등은 물론 멀리 떨어진 교하, 파평지역에서도 찾아올 만큼 어린이들의 꿈의 동산이었다. 특히 연풍지역에는 외국인 노동자가 많이 살고 있어 그 자녀들이 학교를 다녀온 후 부모가 일터에서 돌아올 때까지 뿡뿡이, 펭수와 놀이를 하며 기다리는 공간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 조형물이 김경일 시장 체제가 들어서면서 철거됐다. 운정의 놀이구름 캐릭터는 입장료가 있는 반면 연풍경원은 수익이 없어 캐릭터 사용료가 많이 든다는 이유였다. 도시재생사업을 경제적 논리로 바라본 것이다. 그렇다면 파주시민축구단 K리그2 진출에 따른 예산은 어떤가? 파주시의회 박은주 의원은 ‘파주시민축구단 K리그2 진출은 중장기적으로 수백억 원대의 시민 세금이 투입되어야 하는 중대한 정책 결정인데 공식적인 타당성 조사나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부족하다.’라며 재검토를 촉구하는 시정질문을 했다. 김경일 시장은 답변에서 “박은주 의원님 빼고 반대하는 사람이 있나요? 현재 K리그3에 25억 원 정도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