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0 파주혁신교육지구 사업 힘찬 출발

파주시는 2020창의··평화 교육도시 파주를 비전으로 민선 7기 핵심 교육 공약인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파주혁신교육지구는 창의··평화로 함께 만드는 교육도시 파주 모델 구축 지속 가능한 행복 파주교육 인프라 구축 학교와 마을이 함께 만드는 파주교육공동체 운영이라는 3대 목표에 맞춰 시의 특성을 반영한 13개 사업을 추진하며 219천만 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다.

 

 주요 사업은 학생들이 체험처에 쉽게 접근하도록 찾아가는 체험버스 지원, 지역사회 교육자원을 학사일정과 연계하는 지역 특색 교육과정 운영, 역량 있는 마을강사를 육성하는 파주마을대학(마을강사 양성과정) 운영 등이다.

 

 우선 찾아가는 체험버스는 파주시가 38천만 원을 투입해 초··고 학생들의 체험활동에 필요한 교통편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명칭 공모를 통해 선정된 파주꿈나루 체험버스로 운영되며 드넓은 파주의 지리적 특성으로 문화·역사·생태 등 다양한 체험처에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 특색 교육과정 사업으로 파주의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 활용해 학생들이 파주 곳곳을 누비며 생생한 현장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해 파주마을대학으로 양성된 104명의 마을강사를 활용해 역사현장 수업(파주3현 등 관내 역사 유적·유물 탐방) 평화감수성 수업(오두산전망대, 임진각, 도라전망대, 캠프그리브스 등 평화통일 체험처 활용) 생태수업(DMZ, , 습지 등 활용) 문화예술수업(자유학년제 연계)을 진행한다.

 

 파주시는 파주마을대학을 통해 혁신교육지구 마을강사를 대상으로 꾸준한 역량강화교육과 함께 직접 수혜자인 학생이 원하는 분야의 마을강사를 학교 수요조사를 통해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외부 강사 섭외가 어려웠던 북파주 지역 학교는 파주마을대학을 통해 구축된 인력풀을 활용해 학사일정에 마을강사를 배치하게 된다. 학교에 찾아가는 마을강사에게는 강사 교통비가 지원된다.

 

 파주시와 파주교육지원청은 지난해 말 초··104개교를 7개 권역으로 나눠 2020년 파주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세부계획 및 추진 일정에 대한 설명회를 마쳤다. 선발된 마을강사의 사업계획과 학사일정 수요조사를 했으며 2월 중 연간 일정을 확정하고 3월부터 학교와 마을강사 매칭을 통한 학습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2월 중 혁신교육지구 파주꿈나루 체험버스 임차 계약공고 등을 거쳐 3월부터 현장학습에 필요한 차량이 초··고교에 지원될 계획이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