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파주시의원 전원 우수의원상… 의정활동 몇 달 만에 상 받은 의원도”

제7대 파주시의회 의원 전원이 의정활동 우수의원상을 받았다. 파주바른신문이 2018년 7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수상내역 자료를 받아 확인한 결과 재적의원 14명(안소희 의원 제외)이 총 41차례 수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선의원인 민주당 한양수(4) 의장과 국민의힘 이효숙(2) 의원이 의정활동 6개월도 안 돼 우수의원상을 받았으며, 2021년 4월 보궐선거에 당선된 국민의힘 박수연(1) 의원 역시 의정활동 8개월여 만에 우수의원상을 받았다. 또한 민주당에서는 이용욱(6), 손배찬(3), 박은주(3), 박대성(2), 이성철(2), 최유각(2), 목진혁(2) 의원이, 국민의힘에서는 안명규(6), 조인연(3), 윤희정(3), 최창호(2) 의원이 각각 상을 받아 제7대 파주시의원 전원이 의정활동 우수의원으로 선정됐다(괄호 안의 숫자는 수상 횟수임).



 의정활동 6개월여 만에 상을 받은 한양수 의장은 “의정활동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상황에서 수상하게 돼 칭찬받기에는 죄송한 부분이 많았으나 추천하신 분들의 격려의 의미로 (받아들여) 감사하게 받았다.”라고 말했다. 한 의장은 또 “의장으로서 박수연 의원을 추천한 것은 박 의원 본인이 자신의 공약을 직접 해결한 것은 아니지만 짧은 기간 동안 결과로 나타난 부분들이 있고, 더 잘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태주는 의미가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박수연 의원은 “제가 상을 신청한 것도 아니고, 상을 받게 된 과정에 대해서도 아는 바가 없어 어떤 기준으로 제가 받게 됐는지 저도 잘 모른다.”라고 말해 나눠먹기식 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파주바른신문은 한양수 의장에게 ‘초선의원의 경우 최소 의정활동 1년이 지난 후 수상 자격을 부여하는 규칙을 마련하는 것’이 어떠한지 묻기 위해 의회사무국을 통해 인터뷰를 요청했으나 사무국 직원으로부터 인터뷰 거절 통보를 받았다. 한양수 의장은 제7대 파주시의회 후반기 슬로건으로 “경청이 신뢰가 되는 의회, 소통이 공감이 되는 의회”를 주창하고 있다.


 파주바른신문은 박수연 의원의 경우처럼 영문도 모른 채 우수의원상을 받게 된 경위와 공적조서 작성의 허위사실 여부, 그리고 심사 기준 등을 집중취재해 문제점과 개선 사항을 3차례에 걸쳐 보도할 계획이다.


오늘의영상





최창호 의원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에 울컥” “이재명 대통령이 그동안 고통받은 해외입양인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 사과한다는 그 말에 마음이 울컥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자치단체의 비협조를 감수하며 어렵게 제정한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가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기초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를 이끌어낸 파주시의회 최창호 의원이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 주목받고 있다. 최 의원은 이 조례를 발의하기 위해 지난해 4월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시카고의 노스웨스턴대학이 주최한 ‘해외입양인 70년 컨퍼런스’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최 의원은 입양인 300여 명이 모인 컨퍼런스에서 “엄마품동산이 20여만 명 입양인들의 고향이 될 수 있도록 파주시의회가 노력하고 있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파주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들으려고 이 자리에 참가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를 마치고 돌아온 최창호 의원은 이익선, 이진아, 이혜정 의원과 함께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한국전쟁과 함께 파주 곳곳에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달러벌이에 나선 기지촌 여성들과 미군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