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명신사립초 “노란색 세일러 교복이 생각납니다.”


우리 아들도 거기 다녔지요. 얼굴색이 다르다고 유치원 친구들이 놀려대서 선유리 언덕배기에 있던 명신국민학교에 보냈어요. 처음 이 학교에 운동장이 없어서 미군 공병대에 얘기해서 산을 깎아 운동장을 만들었어요.”

아들이 흑인 혼혈인 박 아무개 씨의 기억이다.

 

 명신국민학교는 196674일 파주군 임진면(문산읍) 선유리 772번지 3,072평에 12학급 720명으로 설립허가를 받아 같은 해 9263학급 94명 강석국민학교로 개교했다. 그러다가 1968916일 학교법인 강석재단이 명신재단으로 바뀌면서 교명도 명신국민학교로 변경됐다.

 

 당시 강석학원(이사장 이호은) 설립허가 신청을 받은 파주군교육청은 경기도교육감에게 다음과 같은 의견서를 제출했다.

사립 강석국민학교의 설립 위치가 군용지로 사용되고 있으나 강석학원이 군 징발지 해제 신청으로 해결했다. 본 학교 부지는 문산국민학교 학구로서 파주군에서 아동수가 가장 많고 교실 난에 있으며, 선유리에서 문산까지 통학거리가 4km가 되는 데다 군용도로의 교통 폭주로 통학 위험성이 크다. 또한 본 부지는 분교설치 예정지로 물망에 올랐던 곳으로 학교 설립의 필요성이 있다.’

 

 설립인가를 받은 강석국민학교는 1966926일 편입생 1학년 45, 2학년 26, 3학년 23명 등 94명으로 개교식을 했다. 노란색 교복을 입은 학생들은 문산, 파주, 광탄, 법원, 파평, 군내면 등 파주 각 지역에서 학교 통학버스를 타고 다녔다.

 

 1970년대 초 파주에 주둔하던 미군이 의정부, 동두천 지역으로 철수하면서 파주 기지촌 인구 역시 급격히 감소했다. 이에 따라 명신국민학교 학생 수도 해마다 줄어들어 결국 198157일 폐교했다. 폐교 당시 학생 108명은 현재의 문산초, 문산동초, 마정초, 파양초, 연풍초교와 서울로 취학했으며 학적부는 파주군 교육청으로 이관됐다.

 

 명신국민학교 첫 졸업생은 197013명이었다. 졸업생은 입학생의 절반도 되지 않았다. 기지촌에서 영업을 하던 학부모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5학년 때 서울지역 학교로 전학을 시켰기 때문이다. 명신국민학교는 198112회 마지막 졸업생을 끝으로 남학생 103, 여학생 69명 등 총 172명을 배출했다.

 

 파주바른신문이 확인한 명신국민학교 생활기록부에는 곳곳에 아버지 성명 기재란이 비어 있거나 외국인으로 기록돼 있어 학생들은 미군과 한국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인으로 추정된다. 해외입양인 모임인 코리아 캠프타운자료에 따르면, 1965년 파주 혼혈인은 백인 135, 흑인 35명 등 170, 기지촌 여성은 4,600명이었다.

 

 “명신국민학교는 우리 모두 꿈의 학교였죠. 노란색 세일러 교복을 입고 스쿨버스를 기다리는 애들이 부러워 엄마한테 조르고 졸라 전학을 갔었으니까요.” 4회 졸업생의 말이다.


오늘의영상





“언니 그거 받고 노래방 일하면 안 걸려요.” “파주시 성매매피해자 자활지원금 믿을 수 있겠어요? 파주시장이 여길 없애겠다고 선포했을 당시부터 일했던 아가씨들이 받아야 하지 않나요? 10년, 20년 전에 있었던 아가씨들이 받는 건지, 아니면 여기서 근무를 하지 않은 아가씨들이 받고 있는 건지 알 수가 없잖아요. 그리고 파주시가 밝힌 자활신청자 19명의 실체도 솔직히 투명하지 않아요. 아가씨들이 여길 떠나도 어디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우리가 서로 공유하고 있거든요. 파주시가 자신 있으면 한번 공개해 보세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성노동자모임 대표 ‘별이’ 씨가 22일 집결지를 찾은 경기도의회 의원들에게 한 말이다. 별이 씨는 또 “10년 전 여기서 일했던 종사자 한 분한테 연락이 왔어요. ‘언니 그거(자활지원금) 받고 다른 데 노래방 가서 일하면 안 걸려요. 언니도 지원금 받고 나와서 운정 오피스텔 뛰면 되는 거예요.’ 하더군요.”라며 지인의 전화 내용을 소개했다. 그러니까 파주시가 밝힌 자활신청자 수를 믿을 수 없다는 주장이다. 별이 씨는 ‘파주시가 현재 집결지에 남아 있는 종사자를 30명이라고 주장하는데 자작나무회가 조사한 숫자는 정확하게 66명’이라고 했다. 경기도의회 고준호 의원 등 인권위원회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