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7℃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8.3℃
  • 맑음대전 8.7℃
  • 맑음대구 9.5℃
  • 맑음울산 10.0℃
  • 맑음광주 8.7℃
  • 맑음부산 11.7℃
  • 구름많음고창 8.2℃
  • 흐림제주 11.4℃
  • 맑음강화 6.4℃
  • 맑음보은 7.8℃
  • 구름조금금산 8.9℃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교육

“김밥 만들기 너무 재밌어요.” 해외입양인 용주골 방문

미국의 비영리법인 미앤코리아(대표 김민영)가 주최하는 ‘내가 돌아온 나라 한국’이라는 주제의 모자이크 투어에 참가한 해외입양인들이 29일 파주를 찾았다. 이들은 ‘엄마 품 동산’을 방문하고, 용주골 옛 문화극장에서 주민들과 함께 김밥 만들기를 했다. 그리고 연풍초교를 방문해 일일교사를 체험하고, 김대년갤러리를 방문하는 등 다양한 일정을 소화했다.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에 따라 철수한 조리읍 봉일천의 미군부대 ‘캠프하우즈’ 안에 2018년 조성된 ‘엄마 품 동산’을 찾은 해외입양인들은 미리 나와서 기다리고 있던 윤후덕 국회의원의 환영을 받았다. 윤 의원은 인삿말에서 “해외입양인들의 아픔과 상처를 우리 사회가 함께 공유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정치적 역할을 다 하겠다.”라고 말했다.




용주골에서는 주민들이 ‘웰컴 투 용주골’이라고  영어로 쓰인 리본을 꽃에 달아 해외입양인 한명 한명에게 선물했다. 꽃송이를 받은 입양인들은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주민들은 입양인의 손을 꼭 잡고 김밥 만들기 행사장인 문화극장에 들어섰다. 그러자 공방협의체 손효성 매니저가 준비한 환영 음악이 울려퍼졌다. 자신들의 얼굴이 새겨진 대형 펼침막을 바라보는 입양인들의 입에서는 연신 환호성이 터졌다. 김밥 만들기는 현장사진연구소와 정리수납업체 ‘어썸우먼’이 맡았고, 자원봉사는 한우리부녀회가 맡아 일사분란하게 움직였다. 그리고 파주시의회 이성철 의장과 최창호 의원이 앞치마를 입고 깜짝 등장해 입양인들과 김밥을 만들어 서로 먹여주는 등 행사가 끝날 때까지 자리를 함께 했다. ‘연풍다움’ 성경용 위원장은 지난해에 이어 마을 어귀에 환영 펼침막을 걸어 사회자로부터 궂은일을 도맡아 하는 분이라는 특별한 소개를 받기도 했다.








오후에는 탄현 대동리에 있는 ‘김대년갤러리’를 방문했다.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을 지낸 김대년 작가는 모자이크 투어 포스터에 나와 있는 해외입양인의 어린시절과 현재의 모습을 일 주일 동안 캐리커쳐로 그리고, 그것을 펼침막으로 제작해 갤러리 앞에 걸어 환영했다. 그리고 한명 한명 입양인을 그린 작품에 입양 당시 한국 이름을 직접 써서 선물했다. 김 작가는 “전 세계적으로 장관 출신 화가는 한국의 김대년밖에 없다. 그런 만큼 우리 입양인들이 마음으로 그린 이 작품을 잘 간직하면 좋겠다.”라고 인사했다.








해외입양인들은 파주읍에 있는 연풍초교도 방문했다. 연풍초교는 한국전쟁과 함께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인구가 늘어나자 1963년 파주초교 분교로 개교했다. 이번 투어에는 현직 교사를 비롯 영화배우, 변호사 등 사회적 영역에 속한 입양인들이 많아 일일교사 체험이 다양하게 진행됐다. 김정현 교장은 “말할 수 없는 여러 사정으로 나라와 가족을 떠나 힘들게 살아야 했던 아픔을 이해한다. 그런 상황을 이겨낸 여러분들이 자랑스럽고, 그 같은 의지를 우리 학교와 함께 해주셔서 고맙다.”라고 인사했다. 그리고 연풍초교 음악동아리 학생들은 입양인들에게 다양한 악기로 구성된 공연을 선물했다.







미앤코리아 김민영 대표는 “2018년 해외입양인을 위한 ‘엄마 품 동산’이 만들어졌을 때 큰 감동을 받았다. 그러나 ‘엄마 품 동산’ 조성 5년이 됐음에도 입양인들이 꼭 찾아야 할 만큼의 따뜻함이 없는 것 같다. 어떤 방식으로든 ‘엄마 품 동산’에 자신이 왔다간 흔적을 남기고 싶은 생각이 있는데, 그게 부족한 것 아닌가 싶다. 이제는 입양인들이 단순 방문이 아니라 이 자리에서 미래를 얘기할 수 있는 그런 다양한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