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용주골 사진사] “단골손님 잡으려 젖은 사진 들고 뛴 사진사들”

1960년대 주내면(파주읍)에 주둔한 미군부대로 용주골의 미군 휴양소 RC #1(Recreation Center)을 비롯 Camp Beard, Camp Rice, 파주리의 Camp Block, Camp Custer(North⦁Middle⦁South), 봉서리의 Camp Hartell, 향양리의 Camp Paine 등이 있다. 

 전국 최대 규모의 미군 기지촌이었던 연풍리 용주골에는 일명 ‘RC #1’으로 불린 미군 휴양소가 있어 파주에 주둔하던 미군을 비롯 의정부, 동두천 등 경기북부지역의 미군들이 몰려들어 길거리는 어깨가 부딪힐 정도로 크게 붐볐다. 한 손에는 깡통 맥주와 또 한 손에는 라면상자처럼 생긴 라디오를 어깨에 멘 미군들이 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노래를 부르고, 클럽의 오색 조명이 뒤섞여 이국적 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한 번은 여기(용주골) 부대에서 복무하던 미군이 제대하기 전날 밤에 뉴서울클럽에서 동료들과 제대 기념 파티를 열었는데, 그걸 미군이 카메라로 찍어달라고 해서 내가 찍어 바로 사진을 뽑아 줬지. 그런데 미국으로 돌아간 미군이 사진 속 모습들이 희미하게 보인다며 내 지인을 통해 항의를 해왔던 적이 있었어.” 기지촌의 책사로 불렸던 김성근(86) 사진사의 말이다. 

 당시 용주골에는 결혼식 등 가족사진을 찍는 ‘스튜디오 사진관’ 두 곳과 미군클럽을 드나들며 사진을 찍는 이른바 ‘스냅사진관’ 두 곳 등 네 군데가 있었다. ‘스냅사진관’은 사진사들이 찍어오는 필름을 현상해 사진으로 뽑아주는 사실상 현상소 역할을 했는데 차례를 기다리는 사진사의 줄이 길게 늘어질 정도로 사진업은 큰 호황을 이뤘다. 

 그러다 보니 ‘스냅사진관’ 주인은 사진사를 고용해 사진을 많이 찍어오게 했다. ‘스냅사진관’에 소속돼 활동을 하려면 본인이 카메라를 직접 사가지고 들어와야 했다. 당시 사진사 대부분은 1938년부터 1966년까지 생산된 미국의 ‘아거스(Argus)’ 카메라를 사용했다. 사진관 주인은 사진사들에게 노란색과 파란색 셔츠를 입게 했다. 클럽 주인과 미군, 그리고 기지촌 여성들이 어느 사진관 소속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블루파’와 ‘옐로파’로 나뉜 20여 명의 사진사들은 용주골에서 규모가 가장 큰 ‘뉴서울클럽’과 집단으로 불린 흑인지역의 ‘조마마상클럽’ 등 17개 미군클럽을 차지하려는 영역 다툼을 벌였다. 그야말로 용주골 사진업은 생존권 사수를 위한 전쟁터였다. 그렇기에 사진을 찍으면 빨리 뽑아다 주는 게 상책이었다. 그래야 단골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경쟁 속에서 두 곳의 스냅사진관은 현상과 정착이라는 기본적 단계인 암실 공정을 단축해 사진을 뽑았다. 사진사들은 현상 밧드에서 막 건져낸 사진을 말릴 틈도 없이 들고 내달렸다. 이 사진은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누렇게 변하거나 흐릿해져 사진 속 인물을 알아볼 수 없게 돼 전역 기념사진을 갖고 고향인 미국으로 건너간 미군 병사들이 사진 속 형상이 사라져버렸다며 지인을 통해 용주골 사진사에게 항의하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웬만하면 싸움을 하지 않으려고 했죠. 미군들 앞에서 한국 사람끼리 서로 먹고살겠다고 싸움을 벌이면 좀 그렇잖아요. 그래서 가급적 참고 넘어가지만 내가 만들어 놓은 밥그릇을 상대방에게 빼앗기게 되면 할 수 없이 싸워서라도 지켜야 했죠. 그래서 사진관은 주먹을 좀 쓸 줄 아는 사진사를 대표로 내보내 한판 승부를 벌이거나 패싸움을 하기도 했지요.” 17살 때부터 사진을 찍었던 김홍인 사진사의 말이다. 

 기지촌 사진사들이 꼭 사진만 찍은 것은 아니었다. 임진강 건너 미군부대 파티에 기지촌 여성들을 알선하거나 클럽의 지배인을 맡기도 했다. 그리고 파주시가 발행하는 성병검진표에 들어갈 기지촌 여성들의 얼굴 사진 촬영과 국제결혼식까지 모두 찍었다. 아주 값이 비싼 사진은 흑인과 백인의 인종차별 싸움이나 미군이 기지촌 여성을 폭행하고 상점 유리를 깨는 등 행패를 부리는 현장의 사진이었다. 이는 보상을 받는 데 절대적 증거였기 때문인데, 보통 사진 한 장에 1달러이면 이 사진은 10달러 이상인 데다 부르는 게 값이었다.

 다음 호에 계속…

오늘의영상





[사진이야기] 연풍리 주민들의 호소… “공청회 실시하라” 파주읍 연풍리 노성규 이장 등 주민 30여 명이 22일 오전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입구에 모였다. 연풍지역활성화대책위 박동훈 위원장이 페인트와 붓을 주민들에게 나눠주었다. 플라스틱 의자에 오른 주민들이 길이 20미터, 높이 3미터 생철 담벼락에 미리 그려놓은 선을 따라 덧칠을 시작했다. 잠시 후 ‘주민 공청회를 열어 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어라!’라는 구호가 ‘연풍리 주민 일동’이라는 빨간색 글씨와 함께 드러났다. 주민들은 파주시가 대추벌 성매매집결지를 폐쇄한 후 이 자리에 여성인권센터, 시립요양원, 파크 골프장 등 공공시설을 짓겠다는 것에 반발하며 공청회를 요구하고 있다. 연풍리는 한국전쟁과 함께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지역 전체가 사실상 군사시설보호법에 묶여 재산권 행사를 제대로 못 하는 등 지금까지 1960년대 경제적 상황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파주시가 공공개발 성격의 시설들을 해당지역 주민에게 설명도 없이 몰아붙이듯 추진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며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오는 26일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전람회장에서 진행되는 ‘성교육을 말하다’와 9월 2일 행사에 김경일 시장이 방문할 것이라는 소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