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문산 운천리 출신 네덜란드 입양인…“어머니를 만나고 싶어요”

한국전쟁에 참전한 흑인 미군병사와 한국여성 사이에서 태어나 네덜란드로 입양된 김권시 씨가 어머니를 만나게 해달라며 파주시와 파주경찰서에 도움을 요청했다.
 
 김권시 씨는 1966년 6월 10일 임진면(문산읍) 운천3리에서 어머니 김귀자(1944년생) 씨와 흑인 미군병사 사이에서 태어나 네 살 때인 1970년 7월 16일 ‘한국사회봉사회’에 의해 네덜란드로 입양됐다. 김 씨의 네덜란드 이름은 사이먼(Simon Hokwerda)으로, 1974년 네덜란드 지방법원에 의해 변명됐다.



 사이먼은 해외 입양 절차에 따라 1970년 6월 1일 우석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서 ‘이주희망자건강진단’을 받아 보건사회부에 제출했는데, 기록에 따르면 당시 신장 98cm, 몸무게 17kg이었다. 그리고 ‘이주희망자진단서’에는 ‘본적’이 서울로 기록돼 있다. 이것은 미군 기지촌에서 태어난 아이들 대부분이 출생신고를 하지 않았던 점에 미루어, 해외 입양에 필요한 호적을 입양기관의 주소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지난 19일 오전 11시 파주시청 직원 두 명이 탄현면 통일동산의 김권시 씨 숙소에 도착했다. 직원은 김 씨와 함께 탄현면 대동리 다온숲 식당으로 이동했다. 이 음식점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개최된 해외입양인 컨퍼런스에 파주시를 대표해 다녀왔던 전 문화체육국 황수진 국장이 정년 퇴직 후 운영자로 있는 곳이다.



 황 전 국장은 올봄에 김권시 씨의 사연을 듣고 운천리 지인들을 만나 김 씨의 어머니를 수소문했다. 그 결과를 이날 김 씨에게 자세히 설명했다. 김 씨는 연신 고개를 숙여 감사의 인사를 표했다. 김 씨와 파주시청 직원은 김 씨의 아버지가 휴가 때 들렀을 법한 미군휴양소를 찾았다. 휴양소는 파주읍 연풍리 용주골에 있었다.
 
 용주골 옛 문화극장에서는 미얀마 사진전이 열리고 있었다. 사진전을 관람한 김 씨는 현장사진연구소 이용남 사진가로부터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미군기지촌이었던 용주골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부모의 흔적을 알고 싶었던 김 씨의 얼굴이 상기됐다.  



 용주골을 둘러본 김 씨는 파주시청 직원의 안내를 받아 자신이 태어난 문산읍 운천3리 경로당으로 이동했다. 여기에서 다시 황수진 전 국장을 만나 마을 주민들에게 어머니의 기억을 물었다. 주민들은 이곳저곳 지인들에게 전화를 걸어 김 씨의 어머니 소재를 추적했다. 곧이어 파주경찰서 공공안녕정보외사과 김종오 외사계장이 김 씨를 돕기 위해 경로당에 도착했다.
 
 김 씨는 다시 파주경찰서로 발걸음을 옮겼다. DNA 시료를 채취해 가족찾기 프로그램에 등록하기 위해서다. 김종오 계장의 도움으로 유전자 등록을 무사히 마친 김권시 씨는 “어머니는 분명히 파주에 살고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어머니 찾기에 도움을 준 파주시청 이은순 팀장과 통역을 맡아 준 안의순 주무관에게 깊은 감사의 말을 전했다. 김 씨는 25일까지 파주에 머물며 고향의 향수를 흠뻑 느끼고 네덜란드로 돌아가겠다는 말을 남겼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