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 여성단체의 이상한 안내문

사진은 ‘허락된 언론사의 취재진 이외에는 취재를 삼가하라’는 파주시여성단체협의회 명의의 안내문이다. 이 안내문은 9월 2일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안에 있는 파주시의 성평등파주 건물에서 진행된 (사)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파주시지회의 ‘2025 양성평등주간’ 기념 행사장 출입문에 게시됐다. 파주시의 보조금을 받는 이 여성단체의 취재 제한 경고문은 비판적 언론의 취재를 막고 우호적인 언론 취재만 허용하겠다는 뜻이다. 



 파주바른신문과 시민연합신문을 제외한 파주지역 언론 대부분이 침묵했다. 이날 김경일 파주시장과 파주시의회 박대성 의장이 이 출입문을 통해 행사장 안으로 들어갔다. 파주시여성단체협의회는 왜 이러한 안내문을 붙였을까? 시민의 세금을 허투루 쓰는지 언론의 감시를 받아야 할 단체가 언론 취재를 제한하는 안내문을 붙여 놓고 행사장 안에서는 평등을 얘기했다.

 "지역 언론이 살아야 지역이 살고 민주주의가 삽니다. 그런데 지금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세금으로 지역에서 비정상적 언론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겨레신문이 34년간 몸담았던 언론사를 떠나는 이영아(57) 고양신문 대표를 인터뷰한 내용이다. 이 대표는 마지막까지 지역과 언론 그리고 민주주의를 걱정했다. 



 이영아 대표는 34년 전 지역 신문사 아르바이트로 시작해 정식 기자를 거쳐 발행인 겸 대표를 맡았다. 기업 경영 경험이 없던 그가 어떻게 고양신문을 지키고 키울 수 있었을까? 답은 시민이었다. 고양시는 대표적인 비판 언론인 고양신문 광고비를 전액 삭감했다. 다른 지역 언론사라면 문을 닫아야 할 정도의 타격이었지만 고양신문은 어려움 속에서도 버텨냈다.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수입 구조를 다양화한 덕이었다. 



 이 대표가 다른 지역 신문과의 담합을 거부했던 건 지역 언론에 대한 신념 때문이었다. 시민 중심의 언론 바로 그것이다. 고양시는 약 180개 언론사에 광고를 준다. 이들 중 상당수가 자체 기사 없이 보도자료만 받아쓴다. 지자체가 공공예산으로 시민의 알권리를 막는 꼴이다. 이 대표는 “언론 자유의 본질은 기업으로서 언론사의 자유가 아니라 시민의 알권리를 위한 자유라고 했다. 지방자치단체장이 자신에게 유리한 보도자료만 뿌리고 그걸 받아쓰는 매체를 세금으로 지원하는 건 오히려 시민의 알권리를 훼손한다는 점에서 언론 자유에 반하는 일이다.”라고 했다. 

 모두가 존중받는, 모두가 행복한 ‘성평등 파주’를 외치며 진행한 ‘2025 양성평등주간’ 기념 행사장의 취재진 제한 경고문과 이를 침묵하는 지역 언론을 보며 지역신문 1세대로서 부끄럽고 참담하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