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파주시, 생애주기별 평생학습 기회 보장 위해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파주시가 시민의 생애주기별 평생학습 실현을 위해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평생교육이용권은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격차를 완화하고 삶의 질 개선을 위해 평생학습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로, 파주시에 주민등록을 둔 만 19세 이상 성인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본인의 연령대나 상황에 맞춰 5가지 유형의 평생교육이용권 중 1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최종 선정된 수강생에게는 연간 최대 35만 원 상당의 평생교육이용권이 지급되며, 전국에 등록된 평생교육기관에서 강좌 수강료, 재료비, 교재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평생교육이용권을 신청을 희망하는 시민은 본인의 특성과 생애주기를 고려해 5가지 맞춤형 평생교육이용권 중 1가지를 선택해 신청할 수 있으며, 파주시는 총 974명을 선발한다.

 

 신청 분야는 다음과 같다.
일반 평생교육이용권: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을 위한 이용권이다.
지역특화(청년) 평생교육이용권: 19~39세 청년을 위한 이용권으로, 소득·학력 조건 없이 신청할 수 있다.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 30세 이상 성인을 위한 특별 평생교육이용권으로, AI 및 디지털 학습 특화 프로그램을 수강할 수 있다.
노인 평생교육이용권: 65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이용권이다.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소득 무관 신청 가능. , 저소득층이 우선 선발된다.

 

 평생교육이용권 신청기간은 유형별로 1, 2차로 구분하여 운영한다.

 
 1차는 424일부터 저소득층을 위한 일반 평생교육이용권과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이 대상이며, 신청기간은 424()부터 514()까지이다.


 일반 평생교육이용권은 경기도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 또는 콜센터(☎ 1544-6500)를 통해 가능하고,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은 보조금24 누리집(☎ 1668-0420) 또는 파주시청 평생교육과에 방문 접수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2차는 지역특화(청년노인·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으로 6월 중에 모집 할 예정이며, 파주시청 누리집과 평생학습포털 등을 통해 추후 상세 안내를 공지할 계획이다.

 

 파주시 관계자는 시민의 자기계발을 넘어 지역사회의 역량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라며 지속가능한 학습사회 실현을 위해 다양한 교육 지원정책을 이어가겠다라고 전했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의장이 동해로 간 까닭은... 파주시의회 손배찬 전 의장은 29일 강원도 동해로 내달렸다. 동해로 떠나기 며칠 전 취재진에게 연락이 왔다. 독립운동가 장준하 선생 시비와 새긴돌이 강원도 어디에 있느냐는 물음이었다. 그러면서 평소 존경했던 분이어서 지난 17일 탄현면 통일동산에서 있었던 장준하 선생 50주기 추도식에도 다녀왔다며 파주 장곡리에 세워졌던 장준하 선생 시비와 새긴돌을 꼭 한 번 보고 싶다고 했다. 파주바른신문은 손 전 의장을 직접 안내하기로 했다. 손 전 의장은 광탄면 산골짜기에 있던 장준하 선생의 묘역이 2012년 파주시민의 뜻으로 탄현면 통일동산에 모셔진 사실을 기억하고 있었다. “통일동산으로 모셔올 때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추진위원회’가 있었더라고요. 그 당시 파주시의회 민주당, 국민의힘, 진보당 등 선배 의원님들이 소속 정당을 떠나 추진위원으로 이름을 올리신 걸 보고 정말 아름다운 동행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손배찬 전 의장은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이 조성되고 2년 뒤 제6대 파주시의회 의원이 됐다. 그리고 제7대 때는 의장에 당선됐다. 손 전 의장은 시의회 운영의 핵심 가치를 여야 협치로 삼았다. 5대 선배 의원들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 조성에 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