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먹거리가 천덕꾸러기가 된 세상인데요, 뭘...”



뼈 빠지게 농사지으면 뭐해요. 먹거리가 천덕꾸러기가 된 세상인데요. 아무리 편하고 좋은 세상이라고 한들 농산물이 대접을 받지 못하면 좋은 세상이 아니에요.”

밭에서 감자를 캐던 중 옛 쌀방앗간 설명을 부탁받고 달려온 주익환(78) 씨가 한 말이다.

 

 “여기 입구에 벼를 쏟아부으면 승강기 안에 바가지가 벼를 퍼 올려 도정이 시작되는데, 저쪽 뒤에 있는 바람구멍으로 쌀껍데기 왕겨가 벗겨져 나가고, 그 옆에 돌을 골라내는 석발기를 거치게 됩니다. 그리고 저기 저 마지막 통에서 반짝반짝하게 쌀에 광을 내면 하얀 쌀이 쏟아져 나오지요.”

 

 마지방앗간은 한국전쟁 때 서너 차례 피란을 반복하다가 1960년대 지어졌다. 식현리와 붙어 있는 이 마을에는 미군과 터키군이 주둔했었다. 방앗간에는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쇠바퀴 수십여 개에 크고 작은 피대(벨트)가 그대로 걸려 있다. 이 쇠바퀴를 움직이는 것은 손으로 시동을 거는 발동기였다. 지금은 버스 엔진으로 사용하고 있다.

 

 “발동기로 벼를 찧는 것보다 버스 엔진으로 찧는 것이 훨씬 쌀이 좋아요. 통통 퉁퉁거리는 발동기는 동력 전달이 불규칙해 쌀이 어느 때는 세게 부딪쳤다가 또 어느 때는 아주 느리게 회전해 쌀에 광도 잘 나지 않고 쌀 부스러기가 많이 나오고는 했거든요.”

 

 북파주에는 문을 닫은 전통방식의 쌀방앗간이 제법 남아 있다. 벼가 쌀이 되어 나오는 과정은 매우 섬세하다. 정부가 강제했던 7분도쌀 정책의 역사와 그에 따른 사연도 많다. 쌀껍질 왕겨는 거름과 땔감이 되고 잠자리 베갯속도 됐다. 쌀겨는 돼지, 소 등 가축의 훌륭한 먹이였다.

 

 쌀방앗간을 잘 다듬으면 교육 현장이 된다. 근대문화유산보전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오늘의영상





“파주시, 해외출장 공무원과 민간인 신분 모두 밝힐 수 없어” 김경일 시장이 행정사무감사 기간에 해외출장을 떠나 일부 시의원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파주바른신문이 청구한 정보공개 답변서에 민간인은 물론 공무원 신분까지도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기업인의 역할과 공무원의 출장 목적이 무엇인지 의문이 일고 있다. 파주시는 오는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중국 진저우시 자매결연 30주년을 맞아 ‘제2회 랴오닝성 국제우호도시 무역대회’ 참석과 선양시와의 우호도시 양해각서 체결을 위해 김경일 시장을 비롯 공무원 9명과 민간인 5명 등 14명이 방문할 계획이다. 그러나 파주시는 기업인 동행 이유에 대해 “공공외교와 경제교류 등의 역할과 무역대회에서 기업간 간담회에 참여할 예정이다.”라며 구체적 방문 목적을 설명하지 않고 있다. 파주시는 파주바른신문의 기업인과 공무원 신분에 대한 정보공개청구 답변에서 “실명 등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비공개 대상이다. 기업인은 물론 공무원도 누가 출장을 가는지 밝힐 수 없다. 출장비 역시 구체적인 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로선 정확히 알 수가 없다.”라고 했다. 파주시는 또 김경일 시장 등 방문단의 항공권 좌석 등급에 대한 공개에 대해서도 ‘공무원 국외여비 규정을 참고하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