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군부대 기동순찰조 영농인 감시…2005년엔 블랙리스트 작성”

최근 임진강 건너 민북지역에서 과수원을 운영하는 한 농민이 주문받은 복숭아 납품을 위해 어렵게 구한 농업노동자들에게 일을 시켜놓고 잠깐 민통선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왔는데 농장 앞에 군인 4명이 감시하고 있었다고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했다.


 이에 대해 육군 1사단은 민북지역 출입 시 영농보조인의 개별 남하를 불허하는 예규에 따라 인솔자가 데리고 들어간 영농보조인을 농업 현장에 그대로 놔둔 채 인솔자가 민통선 밖으로 나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즉, 농민이 민북지역을 벗어나려면 데리고 들어갔던 영농보조인과 함께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야 하는데 이를 지키지 않아 농장 앞에 기동순찰조를 배치해 영농보조인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감시했다는 것이다.


 농민들은 ‘민북출입영농인 군갑질 피해근절 대책위원회’를 꾸려 문산 통일대교 앞에서 육군 제1사단의 인권침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영농보조인의 민통선 출입 절차에 따라 출입이 허가된 민간인을 군인이 감시했다며 반발했다.


 실제 농민들의 말대로 국가가 안보를 내세워 인권을 침해한 것이라면 이는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접경지역의 파주시민들은 인권보다 국가안보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살아왔다. 임진강에서 실뱀장어를 잡다 군인들에게 혼쭐이 났던 일은 아주 흔히 있던 일이다. 민북지역에서 나물을 뜯어 나오다가 출입제한 지역에 들어간 것이 의심된다며 모두 빼앗겨 강물에 던져진 일 역시 한 시대의 기억으로 남아 있다.



 육군 제1사단 관계자는 파주바른신문의 인권침해 논란 질문에 “민통선은 고도의 군사작전이 시행되는 안보상 중요한 지역으로서 관련 법과 규정에 의거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해당 영농인(농장 주인)께서는 지난 9월경 영농보조인 3명을 인솔하여 민통선 이북지역으로 출입하였으나 영농보조인 3명만 남기고 남하한 일이 있다. 이에 군에서는 해당 영농지 인근에 GOP 철책과 미확인 지뢰 지대. 그리고 훈련장 등이 있어 영농보조인의 안전을 위해 기동순찰조가 과수원 농장 입구에서 영농인이 복귀할 때까지 대기한 것이다.”라고 해명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는 2005년 6월 민북지역 출입영농인 우재욱, 우경복, 김관철 씨 등 5명이 진정한 인권침해 사건에 대해 인권침해조사관이 현장조사를 벌여 “육군 1사단 소속 정보장교가 전진교 초병들에게 진정인들이 민통선 지역을 출입할 경우 보고하라는 지시에 따라 진정인들의 주소, 주민등록번호, 영농패스 번호 등이 적힌 블랙리스트를 작성, 초소 유리창에 붙인 것은 프라이버시를 침해한 것으로 인권침해에 해당된다.”라고 판단했다.


 다만 국가인권위원회는 “사건 발생 이후 군부대가 진정인들에게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영농 활동 시 출입을 완화하고 블랙리스트의 파기 등의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국가인권위원법 제1항 제3호의 별도 구제조치가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된다.”라고 밝혔다.



 육군 제1사단은 최근 민북지역 영농인에 대한 출입통제로 민원이 제기됐던 통일대교 출입 문제와 관련 “그동안 영농인(영농보조인)의 개별 남하를 불허하고 영농보조인력을 10명으로 제한했으나 지난 15일부터 영농인(영농보조인)이 사전에 개별 남하를 민통초소에 유선으로 신청하게 되면 개별 남하가 가능하고 1인당 인솔할 수 있는 영농보조인도 제한하지 않겠다.”라고 파주시에 통보했다.


 그러나 육군 제1사단은 군사안보와 영농인의 안전을 이유로 민간인의 농장 앞에 기동순찰조를 배치해 감시하는 인권침해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의장이 동해로 간 까닭은... 파주시의회 손배찬 전 의장은 29일 강원도 동해로 내달렸다. 동해로 떠나기 며칠 전 취재진에게 연락이 왔다. 독립운동가 장준하 선생 시비와 새긴돌이 강원도 어디에 있느냐는 물음이었다. 그러면서 평소 존경했던 분이어서 지난 17일 탄현면 통일동산에서 있었던 장준하 선생 50주기 추도식에도 다녀왔다며 파주 장곡리에 세워졌던 장준하 선생 시비와 새긴돌을 꼭 한 번 보고 싶다고 했다. 파주바른신문은 손 전 의장을 직접 안내하기로 했다. 손 전 의장은 광탄면 산골짜기에 있던 장준하 선생의 묘역이 2012년 파주시민의 뜻으로 탄현면 통일동산에 모셔진 사실을 기억하고 있었다. “통일동산으로 모셔올 때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추진위원회’가 있었더라고요. 그 당시 파주시의회 민주당, 국민의힘, 진보당 등 선배 의원님들이 소속 정당을 떠나 추진위원으로 이름을 올리신 걸 보고 정말 아름다운 동행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손배찬 전 의장은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이 조성되고 2년 뒤 제6대 파주시의회 의원이 됐다. 그리고 제7대 때는 의장에 당선됐다. 손 전 의장은 시의회 운영의 핵심 가치를 여야 협치로 삼았다. 5대 선배 의원들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장준하 선생 추모공원 조성에 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