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박태순의 시선

[박태순의 시선] 사랑은 얼만가요?

우리 집엔 16살 먹은 아메리칸 숏헤어 수컷 고양이, '호돌이'란 놈이 산다. 지금은 30대가 되어버린 큰 녀석이 중학교 다닐 때, 길에 버려진 갓 태어난 놈을 데려오면서, 그놈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우리집 두 녀석이 '호돌이'라면 환장을 한다. 안부 전화한다며, 고양이부터 묻는다.. ^^ 나 역시 정이 옴팡들긴 마찬가지다. 

 이놈이 한 달 전부터 잘 먹질 않고, 몸놀림도 영 시원치 않았다. 노환이 들어 그러는지, 어디 아픈 데가 있는지 유심히 살폈다. 그런데 날이 갈수록 상태가 점점 악화하여, 거의 움직이지도 먹지도 못하게 되었다. 



 동네 병원에 '모시고' 가니 신장이 제 기능을 못 해서 생긴 병이란다. 정상적인 신장 수치보다 5배나 높으니, 오래 살진 못할 거고, 원인은 늙어 기능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란다. 

 치료를 부탁하니, 입원해야 한단다. 그러면서 입원비를 물으니 하루 20만 원이고 3일은 치료하고 예후를 살펴야 한단다. 3일이면 60만 원, 좀 많다는 생각이 들긴 했지만, 얼마 살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말에, 일단 입원을 시켰다. 

 가족톡방으로 아이들에게 알리니, 거의 울상이다. 자기들도 병원비 보태겠다며 두 놈이 각각 10만 원씩을 보내왔다. 3일이 지나, 어제 가보니, 상태가 조금 호전된 듯했다. 수의사 말이, 좀 좋아지긴 했는데, 예후가 어떨지 장담할 수 없다면서, 신장 수치를 더 떨어뜨리려면 5~6일은 더 입원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한다. 5~6일이면 추가로 100만 원 정도를 더 내야 하고….

 잠시 고민이 되었다. 아이 엄마와 입원은 하지 않고, 약 20일분(5만 원), 신장에 좋다는 '신장사료(5만 원)'를 구매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아이들에게 자초지종을 말하자, 알겠다고 말은 하면서도, 좀 아쉬워하는 말투다. 아이 엄마와 나는 '하루 20만 원씩 3일 입원비 60만 원, 약값 5만 원, 사료비 5만 원 합계 70만 원이 우리 형편에 이 녀석에게 할 수 있는 최선, 사랑의 값'이라고 결론지었다. 

 입원 기간을 늘려 살 가능성이 크다면, 그보다는 조금 더 비용 지급을 했을 터이나, 그런 것도 아니고….

 그 녀석의 현재 상태, 호주머니 사정, 아이들에 대한 고려 등을 종합해서 우리가 내린 '호돌이에 대한 사랑의 값'은 현금 70만 원이었다.

 물론, 여기에 가는 날까지 지극정성으로 보살피는 것이 추가되긴 하지만…,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