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0.8℃
  • 맑음강릉 14.9℃
  • 맑음서울 12.3℃
  • 맑음대전 10.8℃
  • 구름많음대구 13.7℃
  • 맑음울산 13.2℃
  • 맑음광주 13.7℃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2.0℃
  • 맑음제주 16.0℃
  • 맑음강화 9.3℃
  • 구름조금보은 8.8℃
  • 맑음금산 9.6℃
  • 구름조금강진군 13.6℃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9.9℃
기상청 제공

오늘의 영상

[영상에세이] 검산동 뱁새와 파주시장


뱁새가 검산동 황금들녁 산책길 옆 돼지풀에 둥지를 틀었다. 네 개의 알 중 세 마리가 태어났다. 어미 뱁새는 막둥이 알을 아무리 품어보지만 깨어날 생각을 안 한다. 먼저 태어난 새끼가 쑥쑥 커 입을 벌린다.


 금촌3동사무소에서 돼지풀 제거 작업을 나왔다. 예초기 소리가 돼지풀을 뒤흔들고 놀란 뱁새가 다급한 소리를 내며 가슴으로 둥지를 감싼다. 이때 산책로 풀을 뽑던 검산동 이영애 통장이 돼지풀 제거 작업을 중단시키고 울타리를 만들어 사람들이 뱁새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창우 동장도 “이곳에 뱁새 가족이 살고 있습니다. 어린 뱁새가 자라서 날아갈 수 있을 때까지 보호해야 할 것 같습니다.”라는 안내문을 울타리에 붙였다.


 검산동 주민들의 관심 속에 뱁새 막내도 깨어났다. 뱁새 부부가 정신없이 먹이를 물어다 나르는 사이 새끼들의 몸집도 하루가 다르게 변해갔다. 파주시장도 주민들의 따뜻한 정성에 촘촘한 일정을 조절해 뱁새 가족을 만나기로 했다. 그날이 8월 26일이다.


 그러나 바로 그날 아침. 산책길 ‘암헌로’가 뱁새 울음소리에 시끄럽다. 빠른 걸음으로 달려가 보니 둥지에 돼지풀을 휘감은 뱀이 머리를 박고 있다. 그렇게 뱁새 새끼는 눈도 뜨지 못한 채 뱀의 먹이가 되었다. 새끼를 잃은 뱁새 부부의 울음소리만이 들녘을 가득 메웠다. 파주시장 방문도 취소됐다.


 뱁새는 우리나라 텃새 중 가장 몸집이 작다. 뱁새와 관련된 여러 설도 있다. 대표적인 게 ‘뱁새눈’이다. 눈이 작고 째진 듯 올라간 눈을 ‘뱁새눈’이라고 한다. 그리고 ‘뱁새가 황새를 따라가다 가랑이가 찢어진다.’라는 말도 있다.


 뱁새는 눈이 동그란 게 똘망똘망하다. 뱁새와 황새는 사는 곳이 달라 마주칠 일도 없고 쫓아다닐 일도 없다. 그럼에도 뱁새는 인간사회에서 부정적으로 표현된다. 뱁새 입장에서는 좀 억울한 일이다.


 뱁새 가족이 떠난 지 일주일 후 파주시장이 가정폭력 소문에 휩싸였다. 시장은 가정폭력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그러면서 “가슴 아픈 가정사를 모두 말하기 어려운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이지만 제 가족의 치유와 회복을 위해 지금 이 순간이 힘들고 고통스럽더라도 고난의 십자가를 담대히 지고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새끼를 잃은 뱁새 부부의 애통한 마음이 ‘가슴 아픈 가정사’를 털어놓지 못하고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이라는 말만 되뇌일 수밖에 없는 파주시장의 마음과 닮아 있는 것은 아닌지... 뱁새 새끼의 죽음을 접한 파주시장은 “비정한 야생의 세계 마음이 정말 짠하네요.”라고 심경을 밝혔다.


오늘의영상





‘엄마품동산’ 찾은 해외입양인... “우리를 기억해줘 고맙습니다” ‘2025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에 참가한 입양인들이 11일 파주시 조리읍의 반환 미군부대 캠프하우즈에 조성된 엄마품동산을 찾았다. 이번 대회는 전 세계 20여만 명에 달하는 입양인 중 90명이 재외동포청의 초청을 받아 참가하게 되었다. 이들은 한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체험활동에도 참가하게 된다.입양인들은 엄마품동산 돌망탱이에 자신의 이름과 입양 기록을 칠보공예로 만들어 전시한 ‘기억의 벽’과 900명의 입양인 사진과 사연이 담긴 ‘입양인의 목소리’를 전시한 평화뮤지엄을 둘러보며 서로의 어깨를 토닥이거나 북받쳐 오르는 감정을 소리없는 눈물로 대신했다. ‘2025 한국입양인평화대축제’ 위원장을 맡았던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국회의원은 이번 환영사에서 “이곳은 한국전쟁 이후 미군의 사단본부가 주둔했던 ‘캠프하우즈’이다. 파주는 전투가 치열했던 지역이고 전쟁의 상처가 깊게 남아 있다. 그로 인해 전쟁고아들이 많이 발생했고, 미군 기지촌에서는 젊은 미군과 한국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동이 미국 등 여러 나라로 입양됐다. 파주 사람들은 그러한 역사적 사실과 입양 아동의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 엄마품동산을 만들었다. 이처럼 엄마품동산은 여러분을 기억하는 장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