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8℃
  • 맑음강릉 4.2℃
  • 맑음서울 1.1℃
  • 구름조금대전 3.5℃
  • 맑음대구 3.5℃
  • 맑음울산 3.9℃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6.4℃
  • 흐림고창 3.4℃
  • 흐림제주 10.8℃
  • 맑음강화 2.1℃
  • 맑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3℃
  • 구름많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오늘의 영상

[영상에세이] 검산동 뱁새와 파주시장


뱁새가 검산동 황금들녁 산책길 옆 돼지풀에 둥지를 틀었다. 네 개의 알 중 세 마리가 태어났다. 어미 뱁새는 막둥이 알을 아무리 품어보지만 깨어날 생각을 안 한다. 먼저 태어난 새끼가 쑥쑥 커 입을 벌린다.


 금촌3동사무소에서 돼지풀 제거 작업을 나왔다. 예초기 소리가 돼지풀을 뒤흔들고 놀란 뱁새가 다급한 소리를 내며 가슴으로 둥지를 감싼다. 이때 산책로 풀을 뽑던 검산동 이영애 통장이 돼지풀 제거 작업을 중단시키고 울타리를 만들어 사람들이 뱁새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창우 동장도 “이곳에 뱁새 가족이 살고 있습니다. 어린 뱁새가 자라서 날아갈 수 있을 때까지 보호해야 할 것 같습니다.”라는 안내문을 울타리에 붙였다.


 검산동 주민들의 관심 속에 뱁새 막내도 깨어났다. 뱁새 부부가 정신없이 먹이를 물어다 나르는 사이 새끼들의 몸집도 하루가 다르게 변해갔다. 파주시장도 주민들의 따뜻한 정성에 촘촘한 일정을 조절해 뱁새 가족을 만나기로 했다. 그날이 8월 26일이다.


 그러나 바로 그날 아침. 산책길 ‘암헌로’가 뱁새 울음소리에 시끄럽다. 빠른 걸음으로 달려가 보니 둥지에 돼지풀을 휘감은 뱀이 머리를 박고 있다. 그렇게 뱁새 새끼는 눈도 뜨지 못한 채 뱀의 먹이가 되었다. 새끼를 잃은 뱁새 부부의 울음소리만이 들녘을 가득 메웠다. 파주시장 방문도 취소됐다.


 뱁새는 우리나라 텃새 중 가장 몸집이 작다. 뱁새와 관련된 여러 설도 있다. 대표적인 게 ‘뱁새눈’이다. 눈이 작고 째진 듯 올라간 눈을 ‘뱁새눈’이라고 한다. 그리고 ‘뱁새가 황새를 따라가다 가랑이가 찢어진다.’라는 말도 있다.


 뱁새는 눈이 동그란 게 똘망똘망하다. 뱁새와 황새는 사는 곳이 달라 마주칠 일도 없고 쫓아다닐 일도 없다. 그럼에도 뱁새는 인간사회에서 부정적으로 표현된다. 뱁새 입장에서는 좀 억울한 일이다.


 뱁새 가족이 떠난 지 일주일 후 파주시장이 가정폭력 소문에 휩싸였다. 시장은 가정폭력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그러면서 “가슴 아픈 가정사를 모두 말하기 어려운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이지만 제 가족의 치유와 회복을 위해 지금 이 순간이 힘들고 고통스럽더라도 고난의 십자가를 담대히 지고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새끼를 잃은 뱁새 부부의 애통한 마음이 ‘가슴 아픈 가정사’를 털어놓지 못하고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이라는 말만 되뇌일 수밖에 없는 파주시장의 마음과 닮아 있는 것은 아닌지... 뱁새 새끼의 죽음을 접한 파주시장은 “비정한 야생의 세계 마음이 정말 짠하네요.”라고 심경을 밝혔다.


오늘의영상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