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5℃
  • 구름조금강릉 4.2℃
  • 구름많음서울 3.4℃
  • 구름많음대전 4.8℃
  • 대구 4.4℃
  • 울산 3.4℃
  • 구름많음광주 5.3℃
  • 부산 6.0℃
  • 구름많음고창 5.2℃
  • 흐림제주 12.2℃
  • 흐림강화 4.8℃
  • 흐림보은 1.3℃
  • 흐림금산 4.1℃
  • 구름조금강진군 6.3℃
  • 흐림경주시 4.2℃
  • 구름많음거제 7.1℃
기상청 제공

의학상식

좋은 의사란?

드라마나 영화에 의사가 참 많이 나온다. 미국 드라마로는 ‘ER’, ‘닥터 하우스’, ‘그레이 아나토미’ 등이 있고 우리나라 드라마로는 ‘하얀거탑’, ‘종합병원’, ‘뉴하트’, 최근에 ‘뷰티플 마인드’, ‘닥터스’까지 거의 매년 한 편 이상은 나온다. 의사가 주인공이 아니더라도 직업이 의사로 설정된 캐릭터는 꼭 한 명 끼게 마련이다. 의사가 의학 드라마를 집중하고 보기란 어렵다. 특히 우리나라 드라마의 경우에는 나름 신경써서 고증을 했다고 하더라도 의학적으로 빈틈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말도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보니 감정을 이입해서 봐야할 장면에서 맥이 탁 풀려 재미가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아예 허무맹랑하게 진행되는 ‘닥터 이방인’이나 ‘용팔이’ 같은 드라마가 편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너무 전형적이고 현실감 없는 의사의 모습에서 실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드라마이다 보니 의사들이 다 잘생기고 예쁜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치자. 인턴이나 레지던트일 것 같은 의사들이 종횡무진 활약을 하고 다니는 경우도 많고, 실제로는 잠잘 시간도 없는 경우가 많은데 다들 연애나 가정사에 쫒아다닐 시간이 많다는 것이다. 레지던트 시절 가족 모임에 제대로 나가본 적이 거의 없다. 거의 매일 당직을 서다 보면 시간을 맞추기가 어렵다. 드라마에서는 좋은 의사와 나쁜 의사로 양분돼 나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한국 드라마의 경우에는 거의 그런 것 같다. 그렇다면 현실에서는 어떠할까? 어떤 의사가 환자에게 좋은 의사일까? 만약 다음과 같은 4명의 의사만 있다면 어떤 의사를 선택할까? 첫째, 실력도 좋고 친절한 의사, 둘째, 실력은 없지만 친절한 의사, 셋째, 실력은 좋지만 친절하지 않은 의사, 넷째, 실력도 없고 친절하지도 않은 의사 이 4명의 의사 중 당연히 첫번째 의사가 제일 좋은 의사일 것이다. 하지만 당연히 그런 의사는 적을 것이니 제외하고, 네번째 의사는 말할 것도 없이 제외한다면 두번째, 세 번째 의사 중에 당신이라면 누구를 선택하겠는가? 실력도 좋고 친절한 의사가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의사를 찾는 이유에 따라 좋은 의사는 달라질 것이다. 사실 제일 좋은 의사는 옆에 있는 의사이다. 궁금한 게 있을 때 옆집 아저씨가 아니라 나를 잘 아는 의사에게 물어보면 얼마나 좋겠는가? 큰 병이나, 수술을 해야 하거나, 고가의 장비로 검사나 시술을 하는 거야 대형종합병원에서 하는 것이 좋겠지만, 우리가 평상시에 고민하는 자잘한 증상이나 질병은 어디가서 물어볼 곳이 없다. 그럴 때 쉽게 물어볼 의사가 좋은 의사 아니겠는가. 대학 병원에서 검사를 잔뜩하고는 교수님에게 물어볼 엄두도 못 내고는 주섬주섬 검사 결과를 들고 와서 물어보는 환자들이 많다. 사실 만성질환의 대부분은 지역 개인의원에서 관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대학병원 교수들도 그걸 알지만 수익에 대한 압력으로 인해 6개월에서 1년씩 약을 처방해 주면서 환자를 붙잡고 있다. 그러다 보니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도 대형병원으로 쏠림 현상이 심하다. 사실 동네 개인 의원이 해야 할 역할이 이런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역 주민들이 건강에 대한 상담을 하고 건강 활동을 할 수 있는 거점이 되는 것이다. 만성질환을 관리하다 대형 병원에서 검사를 해야 하는 시기에 권유를 해주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문제점을 일찍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미래에는, 치료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 개개인의 취약한 부분들을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알아내고, 그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건강 활동이나 약물들을 미리 처방하는 의학이 자리잡게 될 것이다. 그 전에 개개인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역 거점으로서 개인의원이 자리 잡아야 한다.

오늘의영상





손성익 의원, ‘직접 만들었다’의 반대말은 ‘남이 만든 것’ 파주시의회 손성익 의원이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파주시 중대재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발의했다.’라고 올렸다. 손 의원은 이 글에서 “중대재해로부터 시민을 지키기 위한 조례를 직접 만들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대재해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고로, 무엇보다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그래서 이번 조례는 파주시가 책임있게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태조사부터 위험시설 지정, 교육과 홍보, 전문가 자문 등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담았다.”라고 설명했다. 손 의원은 ‘조례를 직접 만들었다’라는 말을 굳이 강조한 의미가 무엇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직접 만들었다는 말은 단순한 참여를 넘어 주도적으로 문제의식을 갖고 조례를 구상하고 발의한 노력이 담겨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런데 최근 박신성 의원이 의정활동 3년여가 되도록 단 한 건의 조례도 발의하지 않다가 시민사회와 정치권으로부터 비판이 쏟아지자 뒤늦게 조문 순서만 바꾸면 되는 간단한 개정조례안을 발의한 것에 대해 손 의원이 자신이 발의한 조례는 파주시가 제안하는 이른바 ‘던지기 조례’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동시에 박 의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