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가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무허가 건축물에 대한 행정대집행을 하던 중 이에 반발한 업주가 식칼로 자해 소동을 벌여 이를 제지하던 경찰이 손목에 상처를 입었다. 파주시가 26일 오전 철거 용역업체를 앞세워 집결지 이 아무개(72) 씨 업소 대기실(홀박스) 철거를 시도하자 업주와 종사자,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막아섰다. 파주시가 옆 건물 안으로 들어가 가벽을 헐어내는 철거를 시도하자 이 아무개 씨가 “나 차라리 자결할 거야”라고 외치며 상의를 벗어 칼로 자해를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칼을 빼앗으려던 경찰관이 손목을 베었다. 경찰은 이 씨를 현행범 체포하고 경찰서로 이송 조사하고 있다. 자해 현장에 함께 있던 정 아무개 씨가 넘어져 의식을 잃어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후송됐다. 정 씨는 경찰이 넘어진 자신의 등을 짓밟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풍지역활성화대책위(위원장 박동훈)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폐쇄를 위해 파주시가 밤 10시부터 새벽 3시까지 연풍리 마을 입구를 막고 캠페인을 벌이는 바람에 인근 노래방을 비롯해 상권이 무너져 지역경제가 바닥을 치고 있다며 파주경찰서에 이를 규탄하는 집회신고를 접수했다. 지난 18일 파주경찰서에 접수된 옥외집회 신고서에 따르면 운정역, 야당역, 금릉역, 금촌역을 비롯 파주시가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연풍2리 마을 입구 등에서 11월 21일 오전 9시부터 밤 11시 59분까지 100여 명이 집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돼 있다. 대책위는 LED 전광판이 설치된 차량을 임대해 김경일 시장의 황제수영 방송 뉴스를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역세권에서 틀어 김 시장의 반시민적 행태를 알려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경일 시장은 파주시가 민간에 위탁한 운정 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시민들을 내보내고 이물질을 청소하는 역세작업 시간에 강사로부터 특별히 수영 강습을 받는 등 이른바 황제수영 논란에 휩싸인 바 있는데, 이 내용이 중앙언론을 통해 전국에 방영됐다.
엄마품동산 벽화작업이 엿새 만에 끝났다. 새벽을 낮 삼아 콘크리트 벽과 힘겨루기했던 두 여성작가가 벽화 끄트머리에 자신들의 이름을 꾹꾹 눌러 새겼다. ‘Leah F. 김혜주’와 ‘Karen W. 이병숙’이다. 두 작가는 아직 만나지 못한 엄마의 젖가슴을 만지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라며 울먹였다. 다음 날 작품을 오래 보존하기 위한 프라이머 코팅작업이 있었다. 벽화작업 내내 함께 고생했던 파주시청 관광과 KBI 주무관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코팅작업을 해야 하는데 작가 이름인 ‘전혜주’가 ‘김혜주’로 잘못 써 있어 프라이머를 바를 수 없다는 것이었다. 전혜주 작가는 네 살 때인 1984년 부산보육원에서 미국의 독일계 미국인 부부에게 친모의 성씨를 딴 전혜주로 입양됐고, 양부모는 ‘리아 포레스터(Leah Forester)’라는 미국식 이름을 지어줬다. 전 작가는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제가 잊으려고 노력했던 한국에서의 제 삶과 진실을 마주하기로 다짐했다. 남편 타일러는 제가 한국의 뿌리를 찾는 일에 관심을 갖게 했고, 아이들은 저에게 가족, 문화를 찾아볼 수 있게 용기와 힘을 주었다.” 그런 노력 끝에 자신의 친아버지가 김 씨라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나 입양
제8회 파주목 봉황축제가 16일 파주문화체육센터 일원에서 열렸다. 김경일 파주시장의 축사가 있었다. 김 시장이 연단에 올라서자 파주읍 연풍리 주민 박 아무개(66) 씨가 큰소리로 민원을 제기했다. 김경일 시장은 이렇게 말했다. “지금 여러 사람이 계시는데 그러면 안 돼요. 똑바로 하세요. 아저씨… 여기 시민들도 많은데 욕설하고 그러시면 됩니까? 행사를 하게 되면 가끔 저런 분들도 계세요. 허허허…”라고 꼬집었다. 김 시장은 이어 “제가 지난해 1호 결제로 성매매집결지 정비한다고 말씀드렸잖아요. 좋은 소식을 좀 들려드리면 지금 이제 엄청 많이 속도가 커졌습니다. 그래서 향후 제 임기 내에 불가역적인 환경을 만들어 이 공간을 우리 시민들에게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 시키겠습니다.”라고 말했다. 김 시장은 이날 축사에서 자신의 임기 안에 성매매집결지를 폐쇄하겠다고 밝혔다. 김 시장의 임기는 2026년 6월까지다. 지난해 1월 성매매집결지 폐쇄 선포식에서는 올해 안에 집결지 폐쇄를 자신했다. 그러나 그렇게 자신했던 약속은 해를 넘기고 2년차를 맞고 있다. 그러더니 지난 16일 파주목 봉황축제 축사에서는 임기 안에 집결지를 폐쇄하겠다며 사실상 한 발 물러섰다.
10월의 마지막 날인 31일 새벽 4시 30분. 엄마품동산 벽화 작업을 지원하는 현장사진연구소 차량이 전혜주, 이병숙 작가 등 일행을 태우러 금촌에서 법원읍 초리골을 향해 내달렸다. 29일 밤 작업했던 빔프로젝션 스케치를 다시 보정하기 위해서였다. 나무와 나뭇가지를 연결한 꼬마전구가 어둠이 짙게 남아 있는 초호쉼터를 비추고, 그 그림자 사이로 드르르륵 트렁크 바퀴 소리를 내며 일행들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이날은 숙소를 탄현면 대동리에 있는 ‘다온숲글램핑장’으로 옮기기로 했다. 그래서 아예 짐을 싸 벽화 현장으로 갔다가 저녁에 글램핑으로 향하기로 했다. 내비게이션은 엄마품동산을 조리읍 뇌조리 방향으로 안내한다. 파주시는 현재 미2사단 소속 미군부대 캠프하우즈 18만여 평을 반환받아 미군이 남기고 간 시설을 평화뮤지엄, 공연장 등 여러 용도로 리모델링하고 있다. 가칭 ‘파주시평화역사공원’으로 조성되고 있는 이곳의 정문은 조리읍 봉일천리에 있다. 벽화 작업 크레인이 팔을 길게 뻗어 새벽의 정적을 깨웠다. 전날까지만 해도 빔프로젝터에 USB를 연결했는데, 이날은 전혜주 작가가 드로잉 작업을 한 아이패드를 직접 매달았다. 작품의 부분 부분을 확대 축소하기 위해서
현장사진연구소 사진가들이 엄마품동산 벽화작업 작가들의 호출 명령을 받고 30일, 금촌에서 새벽 어둠을 가르며 법원읍 초리골로 내달렸다. 벽화작업 첫날인 29일 기습적으로 내린 비 때문에 비닐 천막으로 작품을 가리느라 아우성이었던 전날과 달리 새벽 밤하늘에는 별이 반짝였다. 미국과 한국의 시차 탓인지 일정보다 일찍 일어난 작가들은 초호쉼터 펜션 계단을 내려오다가 목을 길게 빼고 꽉꽉거리는 두 마리 거위 앞에 꼼짝도 하지 못한 채 손짓 발짓으로 도움을 요청하고 있었다. 일부러 발자국 소리를 크게 내며 다가가자 거위는 슬그머니 길을 비켜주었다. 초리골 삼봉산 새벽 먼동이 초호쉼터의 곱게 물든 단풍나무를 비추었다. 삼봉산은 1968년 북한의 124군부대 김신조 무장공비가 서울 청와대를 습격하러 갈 때 이 마을 나무꾼을 만난 곳이기도 하다. 날이 어슴푸레 밝을 때쯤 엄마품동산에 도착했다. 벽화 작업대 역할을 할 크레인이 기다리고 있었다. 콘크리트 벽에는 전날 밤 빔프로젝트로 스케치한 작품의 윤곽이 드러나 있었다. 전혜주 작가는 그 스케치가 영 마음에 안 드는 표정이었다. 치맛자락이 조각조각 날려 임신한 엄마를 지나 무궁화꽃이 되는 그 연결고리와 만개한 꽃과 봉우리를
10월 29일 해외 20만 입양인의 고향 엄마품동산에 새벽이 밝아왔다. 이날은 한국전쟁과 함께 조리읍에 자리 잡았던 반환 미군부대 캠프하우즈 콘크리트 벽에 ‘엄마’를 그리는 날이었다. 다큐멘터리 사진집단 현장사진연구소(이하 현사연)는 벽화 현장에 빔프로젝터를 설치하고, 벽화를 그릴 해외입양인 전혜주(Leah Forester), 이병숙(Karen Woodburn) 작가를 기다렸다. 1980년생인 전혜주 작가는 4살 때 부산에서 미국으로 입양됐다. 미국 워싱턴대학에서 분자, 세포, 발달생물학을 전공한 이병숙 작가는 1984년생이며 생후 19개월에 미국 미시건주 작은 마을로 입양됐다. 인천공항으로 마중을 나간 미앤코리아 김민영 대표는 전화로 항공편 연착을 알렸다. 현사연 이용남 사진가는 발을 동동 굴렀다. 날이 밝으면 빔프로젝터에 띄운 작품이 콘크리트 벽에 투영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벽화작업을 위해서는 그 벽에 작품의 윤곽을 스케치해야 하는데 동쪽 하늘에 먼동이 터오고 있었던 것이다. 기어코 날이 밝았다. 새벽 4시 도착 예정이었던 전혜주, 이병숙 작가는 아침 7시가 되어서야 인천공항 대형택시를 타고 엄마품동산에 내렸다. 두 작가의 얼굴을 보는 순간 새벽 스케치를
11월 2일 오전 11시 해외입양인들의 고향 엄마품동산에서 벽화 ‘bLOSSom’ 제막식이 거행됐다. 엄마품동산은 2018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반환 미군부대 캠프하우즈에 조성됐다. 이날 행사에는 윤후덕 국회의원과 이상덕 재외동포청장, 최창호 파주시의원, 김진기 파주부시장, 김민철 재외동포청 교류협력국장, 이영근 재외동포협력센터 상근이사, 국민대 고성일 교수 등이 참석했다.입양인 대표로는 임진강 건너 미군부대 내무반에서 어린시절을 보낸 혼혈입양인 에스텔 쿡 심프슨(74. 여성 퇴역장군)과 유지연 노스웨스턴대 역사학과 교수, 마크 크룩 미국 미시간대 의대 교수 비롯 50여 명이 함께했다. ‘어머니의 모습과 상실의 슬픔을 극복하고 꽃을 피운다’는 의미를 담은 초대형 벽화는 1953년 세워진 3미터 높이의 콘크리트 벽에 그려졌다. 10월 29일부터 벽화작업을 시작한 전혜주 작가는 1980년생으로, 4살 때 부산보육원에서 미국인 가족에게 입양됐다. 전 작가는 현재 입양인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기원과 이중성’이라는 제목으로 미국에 입양된 한국인 입양인에 대한 작품 시리즈를 준비하고 있다. 전혜주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이렇게 설명했다.“꽃이 피어난다는 뜻의 ‘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