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3.6℃
  • 구름조금강릉 13.4℃
  • 구름조금서울 14.6℃
  • 구름많음대전 14.4℃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5.8℃
  • 구름조금광주 13.3℃
  • 맑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13.7℃
  • 흐림제주 14.0℃
  • 맑음강화 12.9℃
  • 구름많음보은 12.8℃
  • 구름조금금산 13.9℃
  • 구름많음강진군 14.7℃
  • 맑음경주시 15.0℃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시의회

[한 장의 사진] 이성철 의장님 고생많았습니다

사진이 무겁다. 사진 속 인물은 제8대 파주시의회 전반기 이성철 의장이다. 사진가 시각으로 볼 때 이 의장은 고개를 숙이지 않고 있어도 늘 어두운 모습이다. 이유는 몸이 아프거나 걱정이 있거나 그냥 그렇게 생겼기 때문이다. 그래도 ‘한 장의 사진’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된 이 사진은 무게감이 있어 가끔 사진수업에 등장했다. 그러나 이제 이 사진은 겉과 속이 달라 작품 수업에 소개할 수 없게 됐다. 
 
 ‘원앤장’ 이성철 의장이 2년간의 임무를 수행하고 옷을 벗었다. 이성철 앞에 붙은 ‘원앤장’은 의원도 아닌 이가 의원이고, 의장도 아닌 이가 의장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의장 예우를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반기 의장 경쟁자였던 민주당 박대성 의원은 본회의장 발언대에 나갈 때 의장에게 머리 숙여 예의를 표하지 않았고, 의장이라고 부르지도 않았다. 그런 박대성 의원에게 이성철 의장이 후반기 의장을 넘겨줬다. 자신을 전반기 의장에 앉혔던 국민의힘 최창호 의원은 졸지에 낙동강 오리알이 됐다. 



 이성철 의장의 전반기는 쓸쓸했다. 대부분 의원들이 그림자 취급을 했다. 시의회 안에서 오갈 데 없던 이 의장을 맞아준 이는 최창호 의원과 장문규 사무국장이 유일했다. 그리고 또 하나의 탈출구는 해외연수였다. 이 의장은 지난 4월 튀르키예(터키)와 그리스를 다녀오려고 인천공항으로 가던 중 교통사고를 당하기 전까지 포르투갈, 일본, 중국, 미국 등 다섯 차례 연수를 다녀왔으나 파주시의원들과 함께한 출장은 아랍에미리트 딱 한 번이었을 정도로 동료의원들과 어울리지 못했다. 한편으로, 이성철 의장은 의장 업무추진비를 자신의 마을 앞에 있는 음식점에서 휘뚜루마뚜루 사용해 언론으로부터 두들겨 맞아도 꿋꿋하게 버티는 참을성 있는 지도자였다. 
 
 이러한 의장의 묵묵함은 ‘식물의회’로 이어졌다. 전반기 의장 2년을 역임하면서 새해 본예산 심사, 행정사무감사 등 정례회에 대응하는 의원 연수를 강화하지 못한 것이 한 이유이다. 이러한 굵직한 사안을 제대로 심의하고 견제하려면 그에 맞는 맞춤형 국내연수가 필요한데, 전반기 내내 국내연수는 여성의원 쌈박질로 문제가 된 2022년 9월 제주도 연수가 전부다. 이에 비해 여행성 국외연수는 파주시의회 주관 4회, 파주시 주관 5회, 경기도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주관 3회 등 12차례 다녀왔다. 



 파주시의회가 국내연수를 단 한 번만 진행한 것은 국내연수 비용을 일부 시의원들이 다른 곳에 써버렸기 때문이다. 2023년 9월 파주시가 주관하는 자매도시 호주 투움바시 방문에 윤희정, 박은주 의원이 동행하면서 국내연수 비용을 모두 끌어다 썼다. 이성철 의장은 이런 파행적 예산 사용을 지켜보면서 아무런 말도 하지 못한 채 부처님 자세로 참고 참았다. 
 
 전반기 의장 선출은 무소속 이성철 의원과 민주당 박대성 의원의 대결이었다. 투표 결과 민주당 소속 7명이 박대성 의원을, 국민의힘 7명은 이성철 의원을 선택해 8대7로 이성철 의장이 당선됐다. 그리고 오늘 자신을 도왔던 국민의힘 최창호 의원과 민주당 박대성 의원이 후반기 의장 후보에 나섰다. 이성철 의장은 박대성 의원을 선택했다. 그리하여 2024년 7월 1일 이성철 의장은 ‘식물의장’에서 해방됐다. 그리고 양당으로부터 그림자 취급을 받는 의원으로 돌아왔다.
 
 ‘원앤장’ 이성철 의장님 그동안 고생많았습니다. 










오늘의영상





“김경일 시장님의 용기와 도덕적 리더십 덕분에...” “김경일 파주시장님께서 취임 이후 누구도 쉽게 하지 못했던 성매매집결지 폐쇄를 과감히 추진하였고, 시장님의 용기와 도덕적 리더십 덕분에 파주는 정의롭고 건강한 도시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자신을 문산이 고향인 파주시민 김미숙이라고 소개한 여성이 파주에서 개최된 ‘타운 홀 미팅’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한 말이다. 이 여성은 “우리는 국가의 아픔을 함께 짊어지며 인내하고 살아왔다. 지난 70년 동안 시민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또 하나의 고통이 이어져 왔다. 바로 미군 주둔과 함께 생겨난 용주골 성매매집결지이다.”라며 성매매집결지에 경찰이 상주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김경일 파주시장도 대통령에게 업소 70곳을 200곳으로 부풀려 보고하며 경찰 지원 필요성을 주장했다. 파주시민 김미숙 씨는 누구도 하지 못한 집결지 폐쇄를 추진했다며 김경일 시장의 용기와 도덕적 리더십을 언급했다. 그렇다면 역대 시장 군수들은 왜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폐쇄를 추진하지 못했을까? 김경일 시장처럼 용기와 도덕적 리더십이 부족했던 것일까? 1988년과 1995년 자치단체장을 역임한 파주 토박이 고 송달용 시장은 생전 인터뷰에서 ‘용주골과 대추벌의 성산업 카르텔이 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