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리비교의 속살 그대로 보여주길…”

파주시는 최근 새로놓은 임진강 리비교 교각에 물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표를 제작했다. 이 수위표는 해수면 평균 기준을 뜻하는 EL(Elevation Level)을 숫자 앞머리에 넣어 교각 왼쪽 하단에 EL.6, 상단에 EL.16으로 표기했다. 그러나 1953년 미군이 임진강 리비교에 적용한 수위표에는 1925년 한반도 대홍수의 물 높이를 교각에 표기하는 하는 등 여러 정보를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어 파주시가 리비교의 역사를 보존하는 차원에서 그 당시의 자료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1931년 미국 캔자스에서 태어난 넬슨 래드(Nelson S. .Ladd)는 한국전쟁에 다리 건설 전문 직업군인으로 참전했다. 넬슨은 서울 영등포에 있는 제84건설공병대에 구조기술사와  측량사로 엑스레이(X-RAY) 작전으로 불린 파주 임진강 리비교 건설에 배치됐다.



 넬슨은 한국전쟁 참전 이후 60년 만인 2013년 한국을 방문해 자신이 건설한 임진강 리비교를 찾았다. 넬슨은 리비교 두 번째 교각에 표시돼 있는 노랑색 수위표는 다시 제작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리비교 높이는 한국의 대홍수를 기준으로 했다고 밝혔다. 을축년 대홍수는 일제강점기였던 1925년 여름 네 차레에 걸쳐 일어난 홍수로 한강과 낙동강 일대 등 한반도 전역이 피해를 입어 ‘을축년 장마’ 혹은 ‘을축년 홍수’라고 부른다.
 
 넬슨은 1953년 7월 리비교 준공 때 교각 맨 윗쪽에 ‘1925년 대홍수’라고 명시했고, 교각을 떠받치고 있는 이른바 ‘우물통’에서부터 물높이를 측정하는 수위표를 교각 왼쪽에 ‘피트(ft), 오른쪽에는 미터(m)를 노랑과 검정색으로 각각 표시했었다고 기억했다.



 파주바른신문이 입수한 자료에도 넬슨의 기억과 일치하는 수위표가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교각 맨아래 16ft로 시작해 1ft 간격으로 58ft까지 표기돼 있으며, 오른쪽에는 5m에서 1m 간격으로 17m까지 적혀 있다. 또한 교각 중간에는 수위 측정 방식을 ‘평균 해수면(MEAN SEA LEVEL)으로 산출했음을 안내하고 있다. 이러한 산출 방식으로 교각의 수위표가 5m로 시작되고 있다. 그리고 교각 상부 16.45m 지점에는 1925년 한반도 대홍수 수위선을 표시해놓고 있어 임진강 리비교를 높게 건설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파주시는 리비교를 철거한 후 새 다리를 건설하고 최근 그 교각에 임진강 물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표를 표기했다. 또한 다리 주변에 ‘리비교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하면서 교각에 타일을 붙인 조형물을 세웠다. 이 모자이크 타일 시공은 9천3백만 원의 예산이 들어갔다. 그러나 역사문화 전문가들은 교각을 화려하게 꾸미는 것보다 1953년 그 당시의 콘크리트 교각을 그대로 보여주고 미군이 표기했던 수위표를 공원에 세워 역사문화공원을 찾는 관광객이  한국전쟁 때 건설된 리비교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제안을 하고 있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인권침해 진정에 대한 파주시 입장문을 보며…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가 18일 파주시의 강제 철거에 따른 인권침해를 호소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파주시는 곧바로 불법적이고 반인권적인 성매매 행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는 입장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그런데 파주시가 입장문에서 언급한 2023년 국가인권위 발간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에서는 ‘성매매 여성을 성매매 종사자나 여종업원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성매매가 마치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간주될 위험이 있어 성매매피해자 등으로 표현할 것을 권고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인권위 권고는 표현에 따라 성매매가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는 것이지, 성매매 여성의 인권을 침해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설립된 유엔여성기구는 “성매매와 성노동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이다. 유엔의 역할은 모든 여성이 폭력, 학대, 착취, 차별, 낙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주거권 보장 없이 진행되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철거에 우려를 표했다. 그리고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사자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특히 성노동과 성매매 정책은 반드시 해당 개인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