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올해의 사진] ‘도’ 아니면 ‘모’

사진은 파주읍 연풍시장 골목이다. 담벼락에 담배가게 등 옛 시장의 풍경이 담겨 있다. 파주시가 2021년 10월 새뜰마을사업 마을길 개선으로 고양시의 한 업체와 계약해 2천9만 원을 들여 벽화를 완성했다. 그러나 이 벽화는 불과 2년 만에 들뜸 현상이 생겨 그림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됐다. 파주시는 오래된 건축물에 그림을 그려 그렇게 됐다고 말한다.

 파주바른신문의 취재가 시작되자 벽화가 있던 담벼락이 깨끗해졌다. 아예 벽화를 페인트로 지워버렸다. 예산 2천만 원이 날아갔다. ‘도’ 아니면 ‘모’다. 김경일 시장의 행정을 이것과 비교하면 너무 야박한 평가일까? 



 그러나 이뿐만이 아니다. 파주시는 지난 6월 연풍경원의 EBS 캐릭터를 모두 철거했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연풍경원의 펭수, 뿡뿡이, 번개맨, 두잉, 두다다쿵 등 모든 캐릭터가 철거됐다. 캐릭터 사용료가 너무 많이 나가고 있어 철거했다고 한다. 파주시 행정은 ‘도’ 아니면 ‘모’다.



 파주시가 10대 뉴스를 발표했다.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폐쇄 등 시정 성과 20개를 시민 2,180명에게 물었다고 한다. 그런데 성매매집결지 폐쇄 정책을 묻는 건 이상하다. 집결지 사람들과 마을 주민 모두 단계적 폐쇄에 찬성하기 때문이다. 다만 준비할 시간을 달라며 파주시의회에 청원했지만 이성철 의장은 이리저리 핑계를 대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파주시의원들도 폐쇄에 찬성한다는 뜻을 기회 있을 때마다 공언했다. 그러니 시민들한테 성매매집결지 폐쇄 정책을 묻는 것은 뻔한 질문이고 답이다. 역시 ‘도’ 아니면 ‘모’다.



 최종환 전 시장은 미군 기지촌의 도시재생사업을 핵심적으로 추진했다. 한국전쟁과 외국군대로 인한 서비스산업이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주민들에게 얼마나 큰 고통으로 남아 있는가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파주는 1960년대 11개 읍면 중 9개 지역에 기지촌이 있었다. 그중 주내면(파주읍) 용주골은 미군휴양소가 있어 가장 큰 규모로 자리 잡았다. 최 전 시장이 연풍지역을 살려보겠다고 한 이유이다. 그 결과 파주시가 임대료를 제공하며 연풍 골목의 작가 공방도 활발하게 움직였다. 그러나 김경일 시장이 들어서면서 임대료는 물론 도시재생사업이 사실상 멈췄다. 

 김경일 파주시장의 올해 행정… ‘도’ 아니면 ‘모’다.
 









오늘의영상





최창호 의원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에 울컥” “이재명 대통령이 그동안 고통받은 해외입양인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 사과한다는 그 말에 마음이 울컥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자치단체의 비협조를 감수하며 어렵게 제정한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가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기초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를 이끌어낸 파주시의회 최창호 의원이 해외입양인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 주목받고 있다. 최 의원은 이 조례를 발의하기 위해 지난해 4월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시카고의 노스웨스턴대학이 주최한 ‘해외입양인 70년 컨퍼런스’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최 의원은 입양인 300여 명이 모인 컨퍼런스에서 “엄마품동산이 20여만 명 입양인들의 고향이 될 수 있도록 파주시의회가 노력하고 있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파주시 해외입양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들으려고 이 자리에 참가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를 마치고 돌아온 최창호 의원은 이익선, 이진아, 이혜정 의원과 함께 ‘파주시 해외입양인 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한국전쟁과 함께 파주 곳곳에 미군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달러벌이에 나선 기지촌 여성들과 미군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