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성매매집결지 폐쇄 대화로 풀어야…“

“파주에서 나고 자라 경기도의원을 하신 시장님이 성매매집결지가 없어진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고 하시며 뒤도 돌아보지 않고 폐쇄할 때까지 끝까지 가겠다고 하셨습니다. 성매매집결지가 갑자기 생긴 것처럼 폐쇄를 선언하셨지만 지난 5년간 파주시가 여성인권단체에 준 보조금은 국비와 시비를 합쳐 18억3천6백만 원입니다.”



 파주여성민우회 윤숙희 전 대표가 파주시의회 앞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한 말이다. 윤 전 대표는 또 성매매집결지 여성의 인권과 아울러 해외연수를 계획하고 있는 파주시의원들에 대한 비판도 덧붙였다. “내 지역에서 억울하게 살고 있는 사각지대의 피해 여성이 단 한사람이라도 있다면 인권활동을 제대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성매매집결지, 바로 이곳에 여성들이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곳은 재개발지역으로 묶여 있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폐쇄 강행에 앞서 이곳에 살고 있는 여성들의 처우와 살아갈 대책 마련도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이것이 파주시의원들이 돌봐야 할 민생이고, 내 귀로 직접 들어야 할 시민의 소리가 아닌가요?”


 현재 파주 성매매집결지에는 47개 업소 130여 명, 출퇴근 50여 명, 아르바이트 20여 명을 포함 약 200여 명의 여성들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집결지 여성 모임 ‘자작나무회(대표 한 아무개)’는 김경일 파주시장이 올해 안에 집결지를 폐쇄하겠다는 방침을 선포하자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파주바른신문은 자작나무회의 동의를 얻어 설문 내용 중 학력, 나이, 성매매 동기 등 일부를 소개한다. 설문에는 80명이 참여했다. 이 중 학력을 보면 초등학교 졸업 8명, 중학교 졸업 25명, 고등학교 졸업  41명, 대학교 졸업 6명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 7명, 30대 33명, 40대 34명, 50대 6명으로 집계됐다.



 성매매에 나서게 된 동기에 대해서는 51명이 경제력, 29명이 사회적 부적응과 가정폭력이라고 말했다. 돈을 벌어야 하는 이유로는 가족의 경제적 문제를 꼽았다. 또한 '성매매집결지가 폐쇄될 경우 다른  직업으로 전환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75명이 없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김경일 시장 성매매집결지 없어진 줄 알았는데" 5년간 1836백만 원 써 

http://www.pajuplus.co.kr/news/article.html?no=10132


성매매집결지 여성 파주시의회에 청원서 접수

http://www.pajuplus.co.kr/news/article.html?no=10122

 

파주시가 우리의 인권을 걱정한다고요?”

http://www.pajuplus.co.kr/news/article.html?no=10090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