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5.7℃
  • 맑음강릉 11.4℃
  • 구름조금서울 4.7℃
  • 구름많음대전 8.1℃
  • 구름많음대구 9.7℃
  • 흐림울산 10.4℃
  • 흐림광주 9.1℃
  • 구름많음부산 14.9℃
  • 흐림고창 8.1℃
  • 흐림제주 12.0℃
  • 맑음강화 4.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많음금산 8.2℃
  • 흐림강진군 9.9℃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행감 안테나] ‘컨트롤 씨브이 언론’ 부끄럽지 않나

파주시의회 자치행정위원회 이진아 위원은 파주시 소통홍보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파주시에서 내 보내는 보도자료를 ‘컨트롤 씨브이’ 하는 언론사는 광고비를 잘 받고, 파주 시정에 비판적인 기사를 쓰면 광고를 덜 주거나 안 주는 그런 얘기들은 많이 들었잖아요? 그런데 제 생각은, 쓴소리도 받아들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언론사들을 평가할 때 내부 지침이라는 게 있잖아요. 비판적인 기사가 생겼을 때 어느 정도 시정에 반영이 되고 그래서 더 나아질 수 있으면 그 언론사는 훌륭한 언론사라고 생각해요. 그러면 그분들한테도 뭐 플러스 가점이라도 줄 수 있는 항목이 내부 지침에 들어가야 되지 않나… 항상 좋은 소리만 들으면 발전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행정감사에서 이진아 위원은 파주시가 제공하는 보도자료를 사실관계도 확인하지 않고 그대로 따붙여 보도하는 매체를 ‘컨트롤 씨브이 언론’이라고 지칭했다. 이러한 지적은 김경일 시장의 핵심 정책인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폐쇄 정책 보도 과정만 봐도 알 수 있다. 집결지 현장에 얼굴 한번 보이지 않는 기자가 파주시가 제공하는 보도자료를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전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감사장에 출석한 소통홍보관은 이진아 위원의 지적에 이렇게 답변했다. “저희가 비판기사를 가지고 광고를 그렇게 하지는 않고요. 제가 쓰는 표현으로 ‘아야’ 소리 못하게 하는 기사들이 있습니다. 저희가 정말로 잘못한 부분들이 있는 기사는 정책을 집행하는 데 반영해야 되는 거고요. 그렇다고 해서 저희가 광고나 이런 걸로 옥죄지는 않습니다. 다만 왜곡 보도로 언론중재위에 제소돼 시민과의 신뢰 구축에 큰 타격을 받았을 때 이런 것들은 광고가 안 나가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왜곡 보도로 언론중재위 제소 등 파주시청과 법적 다툼도 없는 파주바른신문은 이진아 위원이 행감자료로 제출받은 1년치 언론사 광고 의뢰 현황에 0원으로 기재돼 있다.    







오늘의영상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 ‘흔들리지 않는 길’ 회고록 출간 손배찬 전 파주시의회 의장이 고향 파주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 ‘흔들리지 않는 길’을 출간했다. 1962년 야당3리의 옛 지명인 ‘아홉 우물’에서 나고 자란 손배찬은 ‘아홉 우물’의 유래를 이렇게 전했다. “마을에 우물이 아홉 개가 있었죠. 그래서 ‘구우물’이라고 불렀어요. 실제 내가 중학교 다닐 때까지도 크고 작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이 중에 가장 큰 ‘아범물’에서 동네 사람들이 빨래를 하곤 했어요. 그런데 어른들한테 전해 들었던 우물의 의미가 구름으로 비유돼 ‘구름우물’이라고도 했죠. 그 바람에 경의선 운정역이 구름 ‘운’에 우물 ‘정’으로 씌어졌다고 해요.” ‘아홉 우물’ 소년 손배찬은 서울로 유학을 가 동국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고향 파주에 뿌리를 내리고 파주시의회 의장과 파주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파주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가 신조로 삼아온 현장에서 답을 찾는 생활정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그는 회고록을 펴내게 된 동기를 “우리 사회는 내란이라는 위기를 민주주의로 이겨냈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임을 증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말한 진짜 대한민국의 정신은 다름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