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해외입양 작가들, 엄마 닮은 잔치국수에 눈물...

현장사진연구소 사진가들이 엄마품동산 벽화작업 작가들의 호출 명령을 받고 30일, 금촌에서 새벽 어둠을 가르며 법원읍 초리골로 내달렸다. 벽화작업 첫날인 29일 기습적으로 내린 비 때문에 비닐 천막으로 작품을 가리느라 아우성이었던 전날과 달리 새벽 밤하늘에는 별이 반짝였다.


 미국과 한국의 시차 탓인지 일정보다 일찍 일어난 작가들은 초호쉼터 펜션 계단을 내려오다가 목을 길게 빼고 꽉꽉거리는 두 마리 거위 앞에 꼼짝도 하지 못한 채 손짓 발짓으로 도움을 요청하고 있었다. 일부러 발자국 소리를 크게 내며 다가가자 거위는 슬그머니 길을 비켜주었다. 초리골 삼봉산 새벽 먼동이 초호쉼터의 곱게 물든 단풍나무를  비추었다. 삼봉산은 1968년 북한의 124군부대 김신조 무장공비가 서울 청와대를 습격하러 갈 때 이 마을 나무꾼을 만난 곳이기도 하다.






 날이 어슴푸레 밝을 때쯤 엄마품동산에 도착했다. 벽화 작업대 역할을 할 크레인이 기다리고 있었다. 콘크리트 벽에는 전날 밤 빔프로젝트로 스케치한 작품의 윤곽이 드러나 있었다. 전혜주 작가는 그 스케치가 영 마음에 안 드는 표정이었다. 치맛자락이 조각조각 날려 임신한 엄마를 지나 무궁화꽃이 되는 그 연결고리와 만개한 꽃과 봉우리를 잇는 크기가 조화롭지 않아 다시 스케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문제는 빔프로젝션을 하려면 날이 어두워져야 하는데, 그러려면 작업을 중단하고 하루종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전혜주 작가의 작품 드로잉을 예리한 칼로 선을 따라 오려내 벽에 붙이는 방식의 스케치를 하기로 했다. 전 작가가 드로잉한 대형 종이를 여러 변수를 고려해 미국에서 화구통에 넣어 가져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드로잉을 도려내는 칼작업은 네덜란드에서 벽화작업 도우미로 온 서수정(Sascha Bouwknegt) 씨와 미국의 최란(Brooke Vermullen) 씨가 맡았다.






 전혜주, 이병숙 작가는 크레인 작업대에 올라 전날 밤 스케치한 작품 윤곽을 살펴보는 등 새로 디자인된 이미지가 삽입될 경우 작품 전체가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지에 대해 고민을 거듭했다. 전 작가는 아이패드에 저장된 작품을 이 작가에게 보여주며 의견을 구했고, 그럴 때마다 이 작가는 자신이 잘 표현할 수 있는 디테일한 그라데이션을 자문하는 등 두 작가는 입양인의 고향 엄마품동산에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는 아름다운 재외동포정신을 담아내려고 했다.






 어느덧 점심시간이다. 이날도 연풍리 주민인 현장사진연구소 사진반 회원들이 잔치국수를 만들어 왔다. 입양인들은 한국의 전통적인 잔치국수가 엄마를 닮았다고 한다. 점심을 준비한 회원 중에는 입양을 해 키우고 있거나 입양을 보낸 상흔이 있어 해외입양인에 대한 감정은 늘 눈물이다. 주민들은 잔치국수에 계란지단 등 고명을 올려주며 손짓 발짓으로 많이 먹으라고 권한다.


 마침 초호쉼터 우능제 대표에게 전화가 왔다. 벽화작업을 하는 작가들에게 아들이 운영하는 레스토랑에서 저녁 식사를 대접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레스토랑은 초리골 깊은 골짝 꼭대기에 있다. 우 대표 며느리와 아들이 반갑게 맞았다. 또 눈물이다.

 다음 호에 계속… 



<관련기사>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