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엄마, 저를 포기할 만큼 사랑하셨다는 걸 알고 있어요.”

‘2025 한국입양인 평화대축제’가 6월 13일부터 이틀간 엄마 품 동산에서 치러진다. 이 행사에는 입양인 200여 명과 파주시민 100여 명 등 300여 명이 참가할 계획이다. ‘엄마 품 동산’은 2018년 반환된 조리읍의 미군부대 캠프 하우즈에 조성되었다. 평화대축제 기간에 엄마 품 동산 평화뮤지엄에서는 세계 각국으로 입양될 당시의 얼굴 사진과 생년월일, 입양국가 등이 적힌 900명의 해외입양인 기록과 사연이 전시된다. 그 중 몇 명의 사연을 미리 공개해 본다.




 “저를 포기할 만큼 사랑하셨다는 걸 알고 있어요. 2년 넘게 저를 키우시느라 얼마나 힘드셨을지도 알아요. 저는 잘 살고 있지만 매일 엄마가 보고 싶어요.” 두 살 때인 1957년 미국으로 입양된 김은자(1954. Linda Peterson) 씨가 한국 생모를 그리워하며 남긴 글이다. 


 갓난아기 때인 1978년 미국으로 입양된 성은희(1978. Nellie) 씨는 이런 글을 남겼다. “엄마가 저를 포기하셨어야 했던 게 한국사회가 우리와 함께 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던 것 같아 마음이 아파요. 하지만 저는 잘 살고 있고, 다시 엄마를 보고 싶어요. 제 생각 자주 하세요? 저는 엄마 생각을 많이 해요. 어느덧 엄마가 되어보니 엄마의 결정이 얼마나 어려웠을지 알 거 같아요. 화도 안 났고 분노도 없어요. 단지 엄마가 아이를 포기했어야 하는 마음의 짐을 짊어지셔야 했던 게 슬퍼요. 엄마 우리 다시 만나요.” 




 1970년 이탈리아로 입양된 김종권(1967. Jong Kwon Rigatti) 씨는 이런 글을 남겼다. “저는 이제 나이가 들었고, 잘 지내고 있어요. 왜 그런 선택을 하셨을지 이해해요. 저는 지금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하고 감사해요. 단 한 번만이라도 엄마를 만나서 ‘사랑해요’라고 말하고 싶어요. 그리고 이제는 알아요. 엄마도 저를 사랑했다는 걸…”


 1968년 엄마의 손을 잡고 고아원으로 간 한정자(1962. Lisa Jackson) 씨는 사진 촬영 당시의 기억을 이렇게 적었다. “이 사진을 찍은 날을 기억해요. 무섭고 불안했지만 얼마나 엄마가 원하는지를 생각하며 차분히 서서 웃으려 노력했어요. 엄마는 나를 고아원에 데려다 주고 착한 아이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어요. 하지만 제가 원한 유일한 것은 집에 돌아가는 것과 엄마였어요. 50년이 지난 지금도 엄마를 생각하며 웁니다.”


 갓 태어나 프랑스로 입양된 장(1973. Jang) 씨는 한국 이름이 없다. 그는 생모와 가족들에게 죄책감을 갖지 말라고 했다. “저는 잘 지내고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어요. 엄마는 옳은 결정을 하신 거예요. 저는 훌륭한 입양 부모님 밑에서 자랐고, 어쩌면 한국에서 자란 것보다 더 나은 환경이었을지도 몰라요. 혹시 이 글을 읽으시고 저와 다시 연락하고 싶은 생각이 든다면 정말 좋겠어요. 그러니 죄책감을 갖지 마시고 행복하세요. 그리고 항상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세 살 때 네덜란드로 입양된 김승호(1980) 씨는 이렇게 말한다. “사랑하는 엄마 장남영! 여전히 저와 제 여동생들을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오랜 시간이 흘러 더 이상 엄마의 얼굴과 목소리가 기억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저를 아프게 합니다. 언젠가 우리 모두 다시 만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희는 엄마를 잊은 적이 없다는 걸 기억해주세요. 엄마가 저희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1977년 미국으로 입양된 흑인혼혈 박재노(1973. Jon Lewien) 씨의 말이다. “할머니는 혼혈인은 한국에서 살기 힘들다고 저를 어렵게 떠나 보내셨지요.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한국에서의 어린시절을 생각하면 아직도 슬퍼져요. 하지만 제가 입양을 갔기에 미군 복무, 대학 학위, 제 사업 등 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입양가족과 친구들에게 넘치는 사랑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1966년 파주에서 태어나 다섯 살에 캐나다로 입양된 정은희(1966. Una Rose) 씨의 사연이다. “입양 후 한국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고 살다가 40대에 한류문화를 통해 다시 한국과 연결됐습니다. 그 문화는 마치 꿈처럼 잊혀졌던 자부심, 고난, 결의, 역사 그리고 자연에 대한 기억들을 되살려 주었습니다. 그것은 제 엄마가 알고 계셨던 이야기들이었고, 제 삶과 입양처럼 저에게 주신 선물이었습니다. 결국 한국과의 연결이 저를 다시 한국으로 이끌었고, 이제 한국은 제 마음속의 영원한 고향이 되었습니다.”




 파주시 조리읍 오산리에서 한국인 어머니와 백인 미군병사 사이에서 태어나 1967년 미국으로 입양된 아메라시안 안준석(1966. Steve Walker) 씨는 이렇게 적었다. “제가 평범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저를 입양 보낸 엄마의 희생에 감사드립니다. 왜 그러셔야 했는지 이해합니다. 저는 멋진 삶을 살아왔습니다. 결혼해서 두 자녀와 두 명의 손주가 있습니다. 엄마 정말 고맙고 사랑합니다.”


 ‘2025 한국입양인 평화대축제’는 더불어민주당 파주시 윤후덕 국회의원과 미국의 비영리법인 미앤코리아 김민영 대표가 공동위원장을 맡아 추진한다. 평화대축제 첫날인 13일 오후 2시에는 해외입양인 150여 명과 한국의 복지시설 원생 40명, 파주시민 등 250여 명이 ‘엄마 품 동산’ 위쪽에 있는 야구장에서 윷놀이 등 민속놀이를 한 후 저녁 6시 30분 파주시민회관 소공연장으로 자리를 옮겨 다큐영화 ‘이름에게’라는 영화를 관람한다. 그리고 14일 오전 10시 ‘엄마 품 동산’에서 입양인과 파주시민 등 300여 명이 평화대축제 행사를 가진 후 운정의 솔가람아트홀에서 열리는 ‘고향의 품, 함께하는 우리…’ 콘서트에 참석한다. 이 공연에는 입양인 가족과 이화여대 가야금 앙상블, 가수 손승연 등이 특별출연할 예정이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