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핼러윈데이에 임진강 건너에서 들려오는 귀신 울음소리”

10월의 마지막 날인 31일 새벽 4시 30분. 엄마품동산 벽화 작업을 지원하는 현장사진연구소 차량이 전혜주, 이병숙 작가 등 일행을 태우러 금촌에서 법원읍 초리골을 향해 내달렸다. 29일 밤 작업했던 빔프로젝션 스케치를 다시 보정하기 위해서였다. 나무와 나뭇가지를 연결한 꼬마전구가 어둠이 짙게 남아 있는 초호쉼터를 비추고, 그 그림자 사이로 드르르륵 트렁크 바퀴 소리를 내며 일행들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이날은 숙소를 탄현면 대동리에 있는 ‘다온숲글램핑장’으로 옮기기로 했다. 그래서 아예 짐을 싸 벽화 현장으로 갔다가 저녁에 글램핑으로 향하기로 했다.






  내비게이션은 엄마품동산을 조리읍 뇌조리 방향으로 안내한다. 파주시는 현재 미2사단 소속 미군부대 캠프하우즈 18만여 평을 반환받아 미군이 남기고 간 시설을 평화뮤지엄, 공연장 등 여러 용도로 리모델링하고 있다. 가칭 ‘파주시평화역사공원’으로 조성되고 있는 이곳의 정문은 조리읍 봉일천리에 있다.






 벽화 작업 크레인이 팔을 길게 뻗어 새벽의 정적을 깨웠다. 전날까지만 해도 빔프로젝터에 USB를 연결했는데, 이날은  전혜주 작가가 드로잉 작업을 한 아이패드를 직접 매달았다. 작품의 부분 부분을 확대 축소하기 위해서였다. 전 작가가 손가락으로 아이패드 속 그림을 건드리자 빔프로젝터 화면이 콘크리트 벽을 가득 채우기 시작했다. 그 화면에 전날 서수정, 최란 도우미가 도려낸 드로잉 종이를 밀착시켜 테이프로 고정시키길 반복했다.




 이날 점심도 현장사진연구소 사진반 회원들이 김으로 감싼 주먹밥과 유부초밥을 준비했다. 저녁 식사는 네덜란드 요리사 서수정 씨와 최란 씨가 직접 요리하겠다며 다온숲글램핑장으로 먼저 이동했다. 이날 특별 메뉴로 샛노란 호박죽이 나왔다. 호박은 민간인통제구역에서 양봉업을 하고 있는 우경복 씨가 해외입양인들에게 호박죽을 만들어주라며 제공했다.  






 잠시 후 해외입양인 커뮤니티에 ‘귀신 울음소리’라는 제목으로 음성파일이 올라왔다. 북한의 대남방송을 녹음한 것이었다. 커뮤니티에서는 이 음성파일을 설명하며 ‘North Korea(북한)가 핼러윈데이를 제대로 즐기고 있다’고 했다. 10월의 마직말 날인 31일이 핼러윈데이였다. 실제로 음성파일은 영화 속에 나오는 귀신 울음소리처럼 들렸다. 우리나라에서 보내는 대북방송도 있었는데, 귀가 찢어질 정도였다고 했다.




 전혜주 작가의 붓이 빠르게 움직이며 새벽에 스케치한 무궁화꽃에 옷을 입히기 시작했다. 이병숙 작가도 꽃 줄기와 세포를 찾아 명암을 불어넣으며 실시간으로 진행 상황을 핸드폰으로 찍어 커뮤니티에 공유했다. 그렇게 차갑게만 느껴지던 한국전쟁의 70년 콘크리트 벽이 따뜻한 옷을 입으며 새 생명으로 태어나고 있었다.

 

 다음 호에 계속…





<관련기사>









오늘의영상





[2025 한국입양인 평화대축제③]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흑인 혼혈 강현숙 씨는 1957년 임진강 건너 미군부대에서 병사들과 함께 몰래 내무반 생활을 하다 미국으로 입양됐다. 백인 혼혈 강순자(Dawn Tomlinson) 씨는 1956년 문산 선유리에서 태어나 세 살 때 미국으로 입양됐다. 두 사람은 지난 14일 ‘엄마품동산’에서 열린 ‘2025 한국입양인 평화대축제’에 참가해 동방사회복지회 위탁모 생활을 하며 겪었던 신기숙 씨의 이야기를 들으며 북받쳐오르는 눈물을 훔치거나 애써 참아냈다. 신기숙 씨는 위탁모 생활을 돌아보며 이렇게 말했다. “저는 31살에 위탁모를 시작해 19년간 61명의 아기를 키웠습니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저는 여전히 아이들의 작은 손, 맑은 눈빛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낯선 땅에서 얼마나 많은 생각과 감정을 품으며 자라왔을지, 얼마나 한국이 그리웠을지를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지만 오늘 이렇게 직접 만나게 되니 그저 고맙고 감사할 뿐입니다. 오늘 엄마품동산 평화대축제를 통해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언제나 소중한 존재였고 지금도 그러하며 존재 자체로 충분히 존귀하고 아름답습니다. 여러분은 혼자가 아니고 항상 여러분들을 기억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잊지 않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