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캠프하우즈] “주한미군 기지촌 여성 살해... 꽃상여 메고 부대 진입”


파주시가 반환 미군기지인 캠프하우즈를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평화공간으로 조성한다. 언론협동조합 파주바른신문은 오랜 기간 파주 미군 기지촌을 기록해 온 현장사진연구소와 공동으로 캠프하우즈를 둘러싼 지역사회를 들여다본다.

 

 그 첫 번째로 1968년 가을 조리읍 봉일천4리에서 흑인 미군병사에 의해 살해된 열아홉 살 미군위안부 사건을 당시 이를 목격한 주민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재구성한다.

 

 “50년 됐나? 잘 기억은 안 나지만 저 위, 공릉 가는 길 그쪽 이층집에서 흑인 미군병사가 열아홉 살이나 됐을까 싶은 그 양색시를 목에 끈을 매 창문 밖으로 끌어내 죽인 거야. 그때 봉일천 삼화병원 의사가 저 소나무 아래에서 해부(사체 검안)를 했었지.” 조리읍 봉일천4리 이재춘(96) 할아버지의 기억이다.

 

 할아버지가 기억하고 있는 살해 현장은 2층집이었다. 1층은 미군 홀이었고 2층은 기지촌 여성들의 숙소인 이른바 벌집이었다. 흑인병사는 술을 마신 후 2층에서 한국 여성과 잠을 잤다. 그리고 이른 아침, 벌집 창문에서 울음소리가 터져 나왔다. 곧이어 넓적한 허리띠처럼 생긴 끈에 목을 매단 여성이 창문 밖으로 내던져졌다. 흑인병사는 발버둥치는 여성의 목줄을 당겼다 놓기를 반복했다.

 

 봉일천에서 태어난 이순옥, 이명숙 자매는 초등학교 다닐 때였어요. 우리 옆집인가 어딘가에서 밤새 울음소리가 들렸는데, 다음날 어떤 여자가 미군한테 맞아서 죽었다는 거예요. 그리고 그 시체를 으슥한 곳에 있는 소나무 아래로 옮겨 의사가 배를 갈랐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지금도 그 기억 때문에 거기를 못 지나가요.”라며 당시를 떠올렸다.

 

 캠프하우즈 정문 앞에서 구멍가게를 했던 정영순(85) 할머니는 상주 차림의 하얀 소복을 입은 기지촌 여성들이 꽃상여를 메고 부대 앞에 모여 안으로 들어가려다가 미군 헌병들이 못 들어가게 막자 정문 앞에서 관을 내려놓고 뚜껑을 열어 데모를 벌였던 일을 직접 목격했다.”라고 말했다.

 

 현장사진연구소와 2014년 인터뷰한 주민 김운영(73) 씨도 기지촌 여성 살해는 당시 큰 사건이었다. 하얀 옷을 입은 여성 100여 명이 그 시신을 메고 부대 안으로 들어갔는데 미군 헌병들이 나와서 여성들을 폭력적으로 몰아붙이니까 그중 한 여성이 뾰족한 하이힐로 헌병의 머리를 찍었다.”라고 증언했다.

 

 파주시는 지난 118캠프하우즈 근린공원 조성사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제1차 민관협의체 전문가 자문회의를 파주시청 대회의실에서 가졌다. 파주시는 한국전쟁과 분단에 따른 국가 안보에 이바지하거나 희생된 지역주민의 다양한 삶을 공원 조성에 적극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오늘의영상





“파주시의회, 장애인 통행로 가로막아도 모른척” 파주시의회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 시의회 청사에 설치한 경사로 관리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파주시청 공무원들이 에너지 절약과 미세 먼지 저감, 교통 혼잡 완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차량5부제를 피해 시의회 주차장 등 장애인 경사로 입구에 주차하고 있어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편의증진법)과 도로교통법 제32조에 따라 과태료 부과 등 철저한 단속이 요구되고 있다. 21일 아침 파주시청 문화예술과 소속 두 팀장이 파주시의회 청사에 설치된 장애인 휠체어 경사로(통행로) 입구에 주차했다. 곧이어 시의회 직원들이 시청 공무원에게 연락해 출입로가 막히지 않게 옆으로 이동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여전히 휠체어가 지나가기는 어려운 상태다. 이날은 차량5부제 끝자리 번호가 2번과 7번이다. 두 팀장의 차량이 모두 해당된다. 편의증진법 제8조 편의시설의 설치 의무는 ‘공공기관, 공공시설, 다중이용시설의 건축주나 관리주체는 장애인 등이 이용하기 위한 편의시설(경사로, 출입구 접근로)을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설치된 경사로 등 편의시설 앞에 주차를 해 휠체어 이동을 방해할 경우 ‘도로교통법 제32조(주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