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0.9℃
  • 구름많음강릉 25.0℃
  • 맑음서울 19.0℃
  • 구름많음대전 21.2℃
  • 구름많음대구 25.3℃
  • 구름조금울산 22.4℃
  • 구름조금광주 22.3℃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17.6℃
  • 구름많음제주 19.0℃
  • 맑음강화 15.5℃
  • 구름조금보은 22.0℃
  • 구름조금금산 21.1℃
  • 구름조금강진군 23.5℃
  • 맑음경주시 26.5℃
  • 구름조금거제 19.4℃
기상청 제공

영상에세이

파주여성민우회 윤숙희 대표의 “김귀정 열사를 위한 행진곡”


1991년 5월 25일 대한극장 앞 진양상가 골목은 폭력 경찰에 쫓긴 시위대가 넘어지면서 아수라장이 됐다. 사복 체포조 백골단이 시위대가 빠져나가려는 골목을 차단했기 때문이다. 경찰은 넘어진 시위대를 무차별 구타했다. 그 골목에 25살 김귀정 열사가 있었고, 그때 세상을 떠났다.


 1966년 서울에서 1남 2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난 김귀정 열사는 부모가 노점상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어려운 가정환경에서도 악착같이 노력해 1985년 한국외대 용인캠퍼스에 입학했다. 그러나 집안 사정이 좋지 않아 학교를 중퇴하고 자동차 정비소에 취직해 부모님을 도우면서 다시 공부해 1988년 성균관대 불어불문학과에 들어갔다.


 1991년 당시, 김귀정 열사와 함께 대한극장 골목에 갇혀 사복경찰의 폭력을 목도한 파주여성민우회 윤숙희 대표가 김귀정 열사 추모 30주기를 맞아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불렀다. 윤 대표는 골목에서 어떤 남자의 도움을 받아 맨발로 도망쳐 집에 왔는데, 바로 그 골목에서 김귀정 열사가 숨졌다는 방송을 보면서 숨이 멎는 것 같았다고 회상했다.


 사진은 1980년대 민주화운동을 기록한 현장사진연구소 이용남 사진가의 작품이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인권침해 진정에 대한 파주시 입장문을 보며…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가 18일 파주시의 강제 철거에 따른 인권침해를 호소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파주시는 곧바로 불법적이고 반인권적인 성매매 행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는 입장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그런데 파주시가 입장문에서 언급한 2023년 국가인권위 발간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에서는 ‘성매매 여성을 성매매 종사자나 여종업원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성매매가 마치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간주될 위험이 있어 성매매피해자 등으로 표현할 것을 권고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인권위 권고는 표현에 따라 성매매가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는 것이지, 성매매 여성의 인권을 침해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설립된 유엔여성기구는 “성매매와 성노동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이다. 유엔의 역할은 모든 여성이 폭력, 학대, 착취, 차별, 낙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주거권 보장 없이 진행되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철거에 우려를 표했다. 그리고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사자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특히 성노동과 성매매 정책은 반드시 해당 개인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