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1.7℃
  • 흐림서울 17.9℃
  • 대전 17.5℃
  • 대구 17.5℃
  • 울산 15.7℃
  • 흐림광주 18.5℃
  • 부산 16.1℃
  • 구름많음고창 17.3℃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7.7℃
  • 흐림보은 16.8℃
  • 흐림금산 17.1℃
  • 구름많음강진군 17.1℃
  • 흐림경주시 17.7℃
  • 흐림거제 17.3℃
기상청 제공

영상에세이

임우영의 “민주항쟁 주역을 위한 노래”


민주항쟁을 기록한 현장사진연구소 이용남 사진가의 카메라에 경찰의 최루탄을 묵묵히 이겨내는 시민들의 모습이 잡힌다. 미친개 날뛰듯하는 지랄탄과 바람을 가르며 떨어져 꽃으로 산화하는 화염병을 민주주의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던 그 거리의 사람들이 바로 민주항쟁의 주역이었다.


 최루탄이 터져 마치 안개 낀 듯 희뿌연 골목에서 한 가족이 콧물과 눈물로 범벅이 돼 괴로운 표정을 짓고 있다. 종로서적 셔터에 갇힌 여성과 버스, 지하철 대중교통의 아침저녁 풍경은 그야말로 눈물바다다. 비닐봉지를 뒤집어쓴 채 명동거리를 걷는 여성들과 노인들의 모습에서 민주주의가 얼마나 힘든 여정인가를 카메라 셔터는 놓치지 않았다.


 민주항쟁의 주역이었던 거리의 시민들에게 바치는 노래를 국회의원 보좌진을 거쳐 경기도의원과 파주시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지낸 임우영 이사장이 불렀다. 임 전 이사장은 ‘광야에서’를 부르면 1980년대 민주화 물결을 타고 광화문, 명동, 종로 거리를 누볐던 유월의 그 기억이 떠오른다고 한다.
 
 임우영 전 이사장은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
1984년 군 제대와 함께 시작한 일이 야당 국회의원의 보좌진이었다. 당시 민한당에서 신민주당, 통일민주당으로 이어지는 야당의원의 보좌진 활동을 하였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물결을 타고 광화문 거리에서, 명동 거리에서, 종로 거리에서 최루탄 가스를 마시며 숱하게 경찰에 쫓기기도 했다. 이한열 열사의 추모제 때에는 수많은 민주시민들과 연대에서 시청으로 거리행진을 하며 민주화를 위한 투쟁의 대열에 힘을 보탰다. 지금도 그때만 생각하면 마음 깊숙한 곳에서 뭉클함과 뜨거운 기운이 느껴지곤 한다. 하지만 그때 수많은 희생으로 이룩한 민주화가 지금의 이런 모습이었다면 차라리 하지 말 것을 그랬다는 생각마저 드는 현실이 그저 가슴 아플 뿐이다. 그때를 생각하며 가끔 부르는 노래가 '광야에서'이다. 그 노래를 다시 한 번 불러본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인권침해 진정에 대한 파주시 입장문을 보며…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가 18일 파주시의 강제 철거에 따른 인권침해를 호소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파주시는 곧바로 불법적이고 반인권적인 성매매 행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는 입장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그런데 파주시가 입장문에서 언급한 2023년 국가인권위 발간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에서는 ‘성매매 여성을 성매매 종사자나 여종업원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성매매가 마치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간주될 위험이 있어 성매매피해자 등으로 표현할 것을 권고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인권위 권고는 표현에 따라 성매매가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는 것이지, 성매매 여성의 인권을 침해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설립된 유엔여성기구는 “성매매와 성노동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이다. 유엔의 역할은 모든 여성이 폭력, 학대, 착취, 차별, 낙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주거권 보장 없이 진행되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철거에 우려를 표했다. 그리고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사자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특히 성노동과 성매매 정책은 반드시 해당 개인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