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역소식

장파리 이야기에 유명인과 술집이 그렇게 중요한가?

1960년대 파평면 장파리 현대사를 얘기하다 보면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가수 조용필이다. 조용필이 고등학교 때 장파리로 가출해 미군 클럽에서 기타를 치며 노래를 했다는 것이다. 그 클럽은 파주시가 발간한 ‘장파리 마을이야기’에 나오는 ‘라스트 찬스’이다. ‘라스트 찬스’ 이름의 진실은 지난 호에서 언급했으므로 생략한다. 




 파주바른신문은 2021년 5월 한겨레신문과 함께 조용필 씨가 파평면 장파리 미군 클럽에서 노래한 사실을 파악하기 위해 조용필 씨 매니저를 접촉했다. 그런데 매니저는 공식적으로 얘기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한겨레도 흑역사로 치부될 수 있는 과거를 뚜렷한 사실관계 없이 지역이나 특정 목적 홍보에 이용하는 건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런 얘기는 조용필 씨와 개인적으로 친한 사람이 술자리 정도에서나 나눌 얘기라고 덧붙였다. 


 파주시가 발간한 ‘장파리 마을이야기’는 가수 조용필 씨가 ‘라스트 찬스’에서 노래를 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마을이야기에 왜 술집과 유명인들을 앞세우는지 알 수 없다. 조용필 씨가 장파리에서 노래를 했든 안 했든 그것이 왜 마을이야기의 중심에 있어야 하는 걸까? 




 한국전쟁 이후 미군의 본격적인 한반도 주둔계획에 따라 파주, 문산, 동두천 등 휴전선 근방은 물론이고 대구, 군산, 김제 등 전국에 미군 기지가 형성됐다. 이에 따라 기지촌 주변에 미군들이 유흥을 즐기는 클럽들이 속속 들어서면서 많은 연예인과 지망생들이 일자리를 찾아 몰려들었다. 미국은 병사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마릴린 먼로, 엘비스 프레슬리 등 당대의 슈퍼스타가 포함된 미군위문협회(USO) 공연단을 한국에 파견하기도 했다. 


 미8군 쇼는 우리나라 음악인들에게 꿈의 무대였다. 연예지망생들이 몰려들어 오디션 경쟁이 치열했다. 이 때문에 각 쇼(Show) 단체는 미군 기지촌에 형성된 클럽에 지망생들을 보내 오디션 심사를 위한 공연을 주선했다. 장파리에는 규모가 큰 블루문홀과 디엠지홀이 있었고, 클럽과 바가 있었다. 한국 정부는 ‘홀’과 ‘클럽’의 업종을 구분했다. ‘홀’은 밴드 등 라이브가 가능했고, 클럽은 레코드판 등 오디오 시설을 이용해야 했다. 




 장파리 미군 기지촌에 몰린 음악인들이 노래를 할 수 있는 곳은 ‘홀’이었다. 블루문홀에는 ‘하우스밴드’가 있었다. ‘하우스밴드’는 업소에 고용된 전속 밴드였다. 조용필 씨 등은 이곳저곳 옮겨다니며 노래를 하는 ‘오픈밴드’였다. 그런 까닭에 조용필 씨를 비롯 많은 음악인들이 장파리 뿐만 아니라 파주읍 용주골의 세븐업클럽을 비롯해 동두천, 의정부, 평택 등 전국을 순회하며 재즈, 컨트리, 로큰롤 등으로 노래 실력을 쌓았다. 그렇다면 그 지역마다 모두 조용필의 발자취를 새겨야 하는 걸까?


 그동안 파주의 일부 문화예술인들은 장파리의 과거를 얘기할 때 조용필과 라스트 찬스를 하나로 묶어내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조용필 거리도 계획됐다. 영화 ‘장마루촌의 이발사’도 등장했다. 반면 미국의 하위문화인 기지촌 군사문화 밖에서 아이들을 지켜내며 열심히 살아온 주민생활 언급에는 인색했다. 




 장파리는 다른 지역 기지촌과 달리 미군부대가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주민들은 미군을 상대로한 직접적 경제활동은 가능하지 않았다. 1960년대 장파리 주민들에게 가장 큰 소득은 ‘실뱀장어’였다. 밤이 되면 솜뭉치로 만든 횃불이 늘노천과 임진강이 만나는 하류를 붉게 물들였다. 두포리 미군 쓰레기장에서 얻어온 국방색 미군 모기장으로 잠자리 뜰채를 만들어 불빛 아래 모이는 실뱀장어를 잡았다. 그렇게 잡은 실뱀장어는 일본에 모두 수출했다고 한다. 원주민들은 그렇게 장파리를 지켰다. 

 다음 호에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지 않으려고 임진강 건너 마을에서 열여섯 살에 장파리로 시집을 온 김 아무개 할머니의 미군 이야기를 연재한다. 할머니는 남편인 할아버지를 비롯해 열 명이 넘는 장파리 주민들이 농약을 먹고 죽었다고 한다. 우울증 때문이라고 했다. 미군 기지촌으로 휘황찬란했던 장파리에 우울증은 왜 생긴걸까?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인권침해 진정에 대한 파주시 입장문을 보며…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가 18일 파주시의 강제 철거에 따른 인권침해를 호소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파주시는 곧바로 불법적이고 반인권적인 성매매 행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는 입장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그런데 파주시가 입장문에서 언급한 2023년 국가인권위 발간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에서는 ‘성매매 여성을 성매매 종사자나 여종업원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성매매가 마치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간주될 위험이 있어 성매매피해자 등으로 표현할 것을 권고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인권위 권고는 표현에 따라 성매매가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는 것이지, 성매매 여성의 인권을 침해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설립된 유엔여성기구는 “성매매와 성노동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이다. 유엔의 역할은 모든 여성이 폭력, 학대, 착취, 차별, 낙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주거권 보장 없이 진행되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철거에 우려를 표했다. 그리고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사자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특히 성노동과 성매매 정책은 반드시 해당 개인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