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5℃
  • 구름조금강릉 4.2℃
  • 구름많음서울 3.4℃
  • 구름많음대전 4.8℃
  • 대구 4.4℃
  • 울산 3.4℃
  • 구름많음광주 5.3℃
  • 부산 6.0℃
  • 구름많음고창 5.2℃
  • 흐림제주 12.2℃
  • 흐림강화 4.8℃
  • 흐림보은 1.3℃
  • 흐림금산 4.1℃
  • 구름조금강진군 6.3℃
  • 흐림경주시 4.2℃
  • 구름많음거제 7.1℃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조병국 “내년 총선 앞둔 정치성 보도 아닌가?”



자유한국당 조병국 경기도 전략기획위원장이 파주바른신문의 보수 정치인의 북한군 추모 헌화는 괜찮은가?’라는 18일자 보도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조 위원장은 취재진에게 전화를 걸어 “20121226일 한 단체의 초청으로 적군묘지에 간 사실이 있다. 그러나 추모제를 한 것이 아니라 묵념과 헌화를 한 것이다. 그리고 북한군 묘역이 아니라 중국군 묘역에서 헌화를 했는데 무슨 근거로 북한군에게 묵념과 헌화를 했다고 보도하는 것인가? 내년 총선을 앞둔 정치성 의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조병국 위원장의 지지자 오 아무개 씨도 전화와 글을 통해 “2012년 그 당시는 중국군이 묻혀 있던 곳으로 박근혜 대통령 때 중국으로 모두 송환하여 지금은 북한군, 그것도 김신조 등 무장공비들만 남아 있다.”라며 조 위원장이 묵념과 헌화를 한 장소는 중국군 묘역이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현재 북한군·중국군 묘역은 제1묘역과 제2묘역으로 나뉘어 있다. 1묘역에는 무장공비를 비롯 남파 간첩 등의 유해가 안장돼 있고, 2묘역에는 북한군과 중국군 유해가 묻혀 있었던 것을 201212월 국방부가 비목과 봉분으로 된 무덤을 평분 석묘로 재단장했다.

 

 국방부의 적군묘지 정화사업으로 제2묘역은 총 389기의 석묘로 재단장됐고 이중 중국군 유해는 89기였다. 이후 2013년부터 20195월까지 석묘 10기가 늘어나 현재 총 399기의 석묘가 있으며, 중국군 유해는 2014328일 본국으로 송환돼 빈 석묘 89기만 남아 있다.

 

따라서 조병국 위원장은 석묘로 재단장 되었을 때인 20121226북중군묘지평화포럼의 초청을 받아 제2묘역에서 묵념과 헌화를 했음에도 중국군 묘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당시 북중군묘지평화포럼사회자는 조병국 위원장을 중요한 분이 한 분 오셨다. 요새 나하고 아주 절친하게 지내는 내 친구가 파주에 와서 동갑내기 조병국을 만났다. 사실 여기 모인 우리는 모두 타향이지만 조병국은 여기가 고향이다.”라고 소개했다.

 

파주바른신문은 조병국 위원장이 박정 국회의원의 인민군 추모제와 나의 북한군 헌화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라고 주장한 것과 중국군의 추모는 괜찮고 북한군은 절대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집중취재 보도할 예정이다.


오늘의영상





손성익 의원, ‘직접 만들었다’의 반대말은 ‘남이 만든 것’ 파주시의회 손성익 의원이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파주시 중대재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발의했다.’라고 올렸다. 손 의원은 이 글에서 “중대재해로부터 시민을 지키기 위한 조례를 직접 만들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대재해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고로, 무엇보다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그래서 이번 조례는 파주시가 책임있게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태조사부터 위험시설 지정, 교육과 홍보, 전문가 자문 등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담았다.”라고 설명했다. 손 의원은 ‘조례를 직접 만들었다’라는 말을 굳이 강조한 의미가 무엇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직접 만들었다는 말은 단순한 참여를 넘어 주도적으로 문제의식을 갖고 조례를 구상하고 발의한 노력이 담겨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런데 최근 박신성 의원이 의정활동 3년여가 되도록 단 한 건의 조례도 발의하지 않다가 시민사회와 정치권으로부터 비판이 쏟아지자 뒤늦게 조문 순서만 바꾸면 되는 간단한 개정조례안을 발의한 것에 대해 손 의원이 자신이 발의한 조례는 파주시가 제안하는 이른바 ‘던지기 조례’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동시에 박 의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