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7℃
  • 맑음강릉 -0.8℃
  • 맑음서울 -3.4℃
  • 구름많음대전 -2.1℃
  • 맑음대구 -0.7℃
  • 구름많음울산 -0.8℃
  • 맑음광주 -1.0℃
  • 구름많음부산 1.5℃
  • 구름조금고창 -1.9℃
  • 흐림제주 4.0℃
  • 맑음강화 -3.5℃
  • 흐림보은 -2.5℃
  • 맑음금산 -2.5℃
  • 구름많음강진군 0.2℃
  • 맑음경주시 -0.6℃
  • 구름많음거제 1.5℃
기상청 제공

공공기관 경기북부 이전 지역 재검토 촉구 성명서

경기도는 지난 124일 문화관광교육분야 공공기관 3곳을 경기북부인 고양문화관광단지로 이전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이전 결정 배경은 경기북부 균형발전은 물론 DMZ 역사 및 생태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 평화관광, 시민교육 활성화와 한반도 평화통일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47만 파주시민은 경기남부에 집중된 공공기관을 경기북부로 이전하여 경기도의 균형을 회복하고 북부지역 주민들이 가진 특별한 희생에 대한 억울함을 풀어 주고자 노력하시는 이재명 경기도지사님께 감사드린다.

 

 그러나, 3개 공공기관의 이전지역이 한곳으로 정해져 경기북부 균형발전이라는 이전 취지가 반감되어 매우 안타까운 심정이다.

 

 무엇보다 경기관광공사는 핵심사업의 대부분이 파주 DMZ 일원에서 추진되는 만큼 현장성을 반영한 파주시가 최적지였다.

 

 파주에는 경기관광공사 직원 85명중 35%에 해당하는 30여명이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에 근무하고 있다.

또한, 경기관광공사의 올해 예산의 50%가 넘는 171억원이 DMZ 일원의 관광콘텐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투자되었다.


 올 3월에는 경기관광공사의 대표 평화관광상품이 될 임진각에서 판문점까지 11km를 달리는 평화모노레일사업 추진을 발표한 바 있다.

 

 이렇듯 경기관광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성공을 위해서는 평화관광의 중심도시인 파주시에 들어와야 하는 것이 누가 보더라도 타당할 것이다.

 

 경기도시공사가 보유한 토지의 활용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고양관광문화단지로의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이해는 되지만 관광산업은 무엇보다 현장성이 중요하다.

또한, 파주 임진각에는 경기관광공사가 보유한 113천평의 토지가 있어 이전 장소 선정에 대한 부담도 없다.

 

 그간 파주시는 접경지역이라는 이유로 각종 규제에 발목이 잡혀 발전의 속도를 내기가 힘들었고 주민들 역시 그로인한 피해의식이 만연해 있는 상태이다.

 

 경기도의 공공기관 북부이전은 지역 균형발전의 취지에서 볼 때 환영하지만 3개 기관이 한곳에 이전될 경우 지역균형 발전이라는 목적을 이루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을 누구보다 기다리고 있는 경기 북부 주민들의 마음을 얻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에 경기도는 3개 공공기관 중 경기관광공사의 이전 지역을 신중하게 재검토하여 경기 관광의 발전과 더욱 많은 경기도민이 경기 북부 균형발전 취지에 수긍할 수 있는 결정을 내려줄 것을 요청한다.

 

 

2019125

파주시장 최 종 환


오늘의영상





“파주시가 발간하는 책… 사실관계 신중해야” “파주의 과거 역사를 올바르게 정리하고 기록하는 것은 파주를 더 바르게 멀리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을 축적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장파리 마을이야기’는 파주의 보통이자 특별한 기록으로 우리 모두가 기억할 만한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역사의 기록으로 파주가 멀리 바르게 도약하길 기원합니다.” 김경일 시장은 ‘장파리 마을이야기’ 발간 이유 중 하나를 파주의 과거와 역사를 올바르게 정리하고 기록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주바른신문은 김경일 시장 취임 이후 공공기관이 발행하는 간행물이 김 시장의 바람대로 과거 역사를 올바르게 정리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했다. 그 첫 번째로 2022년 10월에 발간한 ‘장파리 마을이야기’를 소개한다. 이 책에서 미군클럽 ‘라스트 찬스’를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라스트 찬스는 리비교를 건너 장파리로 들어오는 길목에 위치하여 부대로 복귀하기 전 들를 수 있는 ‘마지막 바’라는 의미를 담아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한편으로 휴가를 나온 미군들이 맨 처음 접하는 클럽이었기에 ‘퍼스트 찬스(First chance)라고도 불렸다.” 그리고 이 클럽 건물을 최초 지은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그런데 파주바른신문이 취재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