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5.4℃
  • 맑음강릉 -2.5℃
  • 맑음서울 -4.4℃
  • 맑음대전 -4.5℃
  • 맑음대구 -2.3℃
  • 구름많음울산 -2.0℃
  • 구름많음광주 -1.5℃
  • 구름많음부산 -1.2℃
  • 흐림고창 -3.1℃
  • 흐림제주 3.4℃
  • 맑음강화 -4.0℃
  • 맑음보은 -5.9℃
  • 맑음금산 -4.1℃
  • 구름많음강진군 -0.3℃
  • 구름많음경주시 -2.4℃
  • 구름많음거제 -0.8℃
기상청 제공

2020년 국비 5,861억원 확보

파주시가 2020년 주요 현안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5861억 원을 확보했다.

 

 지난 1210일 국회 본회의에서 확정한 2020년 정부 예산에는 파주시 주요 현안 사업비로 5861억 원이 반영됐다.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 5731억 원보다 130억 원이 증액됐으며, 2019년 확보한 4729억 원보다 1132억 원 증가한 규모다. 최종환 파주시장이 연초부터 발 빠르게 움직이며 각 부처에 국비 지원의 당위성을 피력하고 동시에 국회의원들과 협력해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집중해 이뤄낸 성과다.

 

 먼저, 교통 분야 주요 사업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건설 1400억 원 파주-포천, 김포-파주 고속도로(수도권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2118억 원 서울-문산 고속도로 건설 920억 원 문산-임진각 전철화 178억 원 지능형교통체계(ITS) 확충 39억 원 운정역-능안리 도로 확·포장(상지석동 외곽도로) 6억 원 운정역-야당역-앵골과선교 연결 도로 개설 4억 원 등 54억 원을 확보하며 파주시민이 가장 원하고 있는 도로, 철도 인프라 확충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 분야 주요 사업은 DMZ 생태평화관광 활성화 91억 원 리비교 황포돛배 옛물길 개발 30억 원 광탄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조성 19억 원 중앙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조성 10억 원 금촌 다목적실내체육관 건립 17억 원 등 440억 원을 확보해 한반도 평화도시로서 위상을 강화하는 동시에 시민이 생활권 가까이에서 문화·여가 기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지역개발분야 주요 사업으로 파주돌다리 문화마을 조성 14억 원 용주골 창조문화밸리 프로젝트 13억 원 법원읍 새뜰마을 9억 원 이등병마을 편지길 조성 4억 원 파주밤고지 평화생태마을 조성 1.5억 원 등 140억 원을 확보하며 파주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마을살리기와 도시재생사업에 활력을 더할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도 환경·농업 등 기타 분야 사업으로 발랑·탄현지구 지표수 보강개발 17억 원 노후하수관로 정비 31억 원 운정하수관로 정비 18억 원 장곡하수관로 정비 17억 원 등 277억 원을 확보했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매년 정부예산 확보 규모가 증가해 뿌듯함을 느낀다이렇게 확보한 재원으로 사업을 빠르게 추진해 시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결과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파주시는 재원을 확보하는 데만 그치지 않고 2020년 상반기에 75% 이상을 집행해 자금이 실물경제로 조기에 흘러갈 수 있도록 사전준비를 할 계획이다.

 

 

 

 

 


오늘의영상





“파주시가 발간하는 책… 사실관계 신중해야” “파주의 과거 역사를 올바르게 정리하고 기록하는 것은 파주를 더 바르게 멀리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을 축적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장파리 마을이야기’는 파주의 보통이자 특별한 기록으로 우리 모두가 기억할 만한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역사의 기록으로 파주가 멀리 바르게 도약하길 기원합니다.” 김경일 시장은 ‘장파리 마을이야기’ 발간 이유 중 하나를 파주의 과거와 역사를 올바르게 정리하고 기록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주바른신문은 김경일 시장 취임 이후 공공기관이 발행하는 간행물이 김 시장의 바람대로 과거 역사를 올바르게 정리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했다. 그 첫 번째로 2022년 10월에 발간한 ‘장파리 마을이야기’를 소개한다. 이 책에서 미군클럽 ‘라스트 찬스’를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라스트 찬스는 리비교를 건너 장파리로 들어오는 길목에 위치하여 부대로 복귀하기 전 들를 수 있는 ‘마지막 바’라는 의미를 담아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한편으로 휴가를 나온 미군들이 맨 처음 접하는 클럽이었기에 ‘퍼스트 찬스(First chance)라고도 불렸다.” 그리고 이 클럽 건물을 최초 지은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그런데 파주바른신문이 취재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