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3.5℃
  • 구름많음강릉 12.9℃
  • 구름많음서울 22.3℃
  • 구름많음대전 23.0℃
  • 흐림대구 18.0℃
  • 구름많음울산 17.0℃
  • 흐림광주 21.0℃
  • 구름많음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9.3℃
  • 구름많음제주 18.6℃
  • 구름조금강화 19.9℃
  • 구름많음보은 22.2℃
  • 구름많음금산 22.8℃
  • 흐림강진군 17.0℃
  • 구름많음경주시 14.9℃
  • 구름많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사진이야기

[사진이야기] 옛 파주군청 모습입니다


한국전쟁과 함께 문산에서 금촌으로 피란한 파주군청 모습이다. 50년 전 파주시 상주 인구는 191,971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3,643명 더 많았다. 이는 최대 규모의 미군 기지촌이 파주에 형성돼 미군 위안부 등 종사자가 전국에서 몰려들었기 때문으로 추산된다.

 

 1968년 파주군청 공무원은 정규직이 245, 임시직 133명이었다. 이중 군청 직원은 군수를 포함 122명으로 각각 국가직 56, 지방직 56명이었으며, 임진면 등 11개 면 단위 공무원은 모두 지방직으로 임명됐다.

 

 당시 파주군청 행정기구는 감사실과 문화공보실을 비롯 내무과, 재무과, 식산과, 농림과, 건설과 등 5개 과와 보건소, 지도소가 있었으며, 고등농민학원, 파주여자기술양성원, 도서관, 성병관리소 등으로 편성됐다.

 

 20198월 말 현재 파주시 인구는 465,280명이며, 공무원은 정무직 1명과 별정직 3명 등 1,460명으로 이중 남성은 787, 여성은 673명이다. 현재 파주시청 청사는 1976년 건립됐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인권침해 진정에 대한 파주시 입장문을 보며…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가 18일 파주시의 강제 철거에 따른 인권침해를 호소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파주시는 곧바로 불법적이고 반인권적인 성매매 행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는 입장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그런데 파주시가 입장문에서 언급한 2023년 국가인권위 발간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에서는 ‘성매매 여성을 성매매 종사자나 여종업원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성매매가 마치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간주될 위험이 있어 성매매피해자 등으로 표현할 것을 권고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인권위 권고는 표현에 따라 성매매가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는 것이지, 성매매 여성의 인권을 침해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설립된 유엔여성기구는 “성매매와 성노동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이다. 유엔의 역할은 모든 여성이 폭력, 학대, 착취, 차별, 낙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주거권 보장 없이 진행되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철거에 우려를 표했다. 그리고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사자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특히 성노동과 성매매 정책은 반드시 해당 개인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