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0℃
  • 흐림강릉 1.5℃
  • 흐림서울 3.2℃
  • 흐림대전 4.6℃
  • 흐림대구 4.0℃
  • 흐림울산 4.9℃
  • 광주 4.7℃
  • 구름많음부산 6.9℃
  • 흐림고창 4.0℃
  • 흐림제주 7.7℃
  • 흐림강화 2.0℃
  • 흐림보은 2.3℃
  • 흐림금산 2.8℃
  • 구름많음강진군 6.5℃
  • 흐림경주시 4.5℃
  • 구름많음거제 5.4℃
기상청 제공

파주시, 누구나 도서관 회원가입 할 수 있어요

파주시는 도서관 회원가입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을 위해 회원가입 절차를 개선했다고 14일 밝혔다.

 

 2014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에 따라 공공도서관에서 회원증을 발급하기 위해서는 본인인증을 통한 홈페이지 회원가입이 필수다. 본인인증은 휴대폰과 아이핀(온라인상의 개인식별번호)으로 이루어지며 본인 명의 휴대폰이 없는 이용자는 회원가입이 쉽지 않았다.

 

 지난 1월에는 공공도서관에서 본인명의 휴대폰, 아이핀이 없는 이들도 가입을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라는 청와대 국민 청원이 진행됐으며 서울의 한 도서관에서 일한다는 사서가 올린 이 청원에는 3,593명의 국민이 동의했다.

 

 시는 코로나19로 인한 공공도서관 임시휴관 기간 동안 도서관 회원가입의 문턱을 낮추기 위해 비대면 회의를 통해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를 개정하고 이용자가 도서관 방문 시 즉시 회원가입을 할 수 있도록 대면 본인확인 방법을 추가 도입했다.

 

 일부 서비스를 재개한 5월부터는 현행 본인인증 수단이 없는 이용자도 도서관에 방문해 신청서를 작성하고 신분증으로 본인 확인 후 회원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주민등록증이 없는 미성년자도 청소년증, 학생증 등으로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을 폭넓게 완화했다.

 

 이에 따른 개인정보파일 관리는 한층 더 강화한다. 시는 도서관별 개인정보 담당자를 지정하고 관리대장을 작성해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시스템(intra.privacy.go.kr)에 공개하고 있다. 매년 1회 일제정비와 함께 보관기간이 지난 개인정보파일의 파기처리도 철저히 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윤명희 파주시 중앙도서관장은 공공도서관은 누구나 차별 없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라며 코로나19 이후 세상에서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소외 계층에 대한 대안을 더욱 절실히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의영상





장파리 이야기에 유명인과 술집이 그렇게 중요한가? 1960년대 파평면 장파리 현대사를 얘기하다 보면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가수 조용필이다. 조용필이 고등학교 때 장파리로 가출해 미군 클럽에서 기타를 치며 노래를 했다는 것이다. 그 클럽은 파주시가 발간한 ‘장파리 마을이야기’에 나오는 ‘라스트 찬스’이다. ‘라스트 찬스’ 이름의 진실은 지난 호에서 언급했으므로 생략한다. 파주바른신문은 2021년 5월 한겨레신문과 함께 조용필 씨가 파평면 장파리 미군 클럽에서 노래한 사실을 파악하기 위해 조용필 씨 매니저를 접촉했다. 그런데 매니저는 공식적으로 얘기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한겨레도 흑역사로 치부될 수 있는 과거를 뚜렷한 사실관계 없이 지역이나 특정 목적 홍보에 이용하는 건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런 얘기는 조용필 씨와 개인적으로 친한 사람이 술자리 정도에서나 나눌 얘기라고 덧붙였다. 파주시가 발간한 ‘장파리 마을이야기’는 가수 조용필 씨가 ‘라스트 찬스’에서 노래를 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마을이야기에 왜 술집과 유명인들을 앞세우는지 알 수 없다. 조용필 씨가 장파리에서 노래를 했든 안 했든 그것이 왜 마을이야기의 중심에 있어야 하는 걸까? 한국전쟁 이후 미군의 본격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