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0.8℃
  • 구름많음강릉 18.6℃
  • 맑음서울 19.9℃
  • 구름조금대전 21.7℃
  • 구름조금대구 22.5℃
  • 맑음울산 21.6℃
  • 맑음광주 21.1℃
  • 맑음부산 19.7℃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9.3℃
  • 맑음강화 16.4℃
  • 맑음보은 20.3℃
  • 맑음금산 21.2℃
  • 맑음강진군 21.5℃
  • 맑음경주시 24.1℃
  • 맑음거제 20.8℃
기상청 제공

사회

“우리 목욕탕은 주민들이 좀 꺼려했어요… 그러다보니 뭐, 망했죠.”

“사실 말하기가 좀 뭣하지만, 우리 목욕탕은 저기 저, 바로 길 건너 대추벌(성매매 집결지) 여성들이 단골손님이었어요. 그래서 그런지 마을 사람들은 우리 목욕탕 오는 걸 꺼려했어요. 그런 데다가 목욕탕이 개울 옆에 붙어 있어 매년 여름이면 물난리를 치르다 보니까 이래저래 망하게 된 거죠.” 문화목욕탕 사위 유광현(63) 씨의 말이다.


 파주읍 연풍리에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 오래 남아 있는 마을 이름이 있다. ‘용주골’과 ‘대추벌’이다. 중앙목욕탕과 문화목욕탕은 연풍리 시내를 관통하는 갈곡천을 경계로 마주보고 있었다.



 1960년대 연풍리는 미군 세상이었다. 용주골은 신작로 하나를 경계로 백인과 흑인지역으로 나뉘었다. 미국의 이러한 인종차별은 기지촌 여성들도 편을 가르게 했다. 당시 주내면(파주읍)에는 목욕탕이 4곳 있었다. ‘중앙목욕탕’은 흑인 출입지역에, ‘문화목욕탕’은 한국인 상대 집창촌이 있었던 대추벌에, 그리고 달러골목으로 불린 시장통에 ‘서울온천탕’이, 파주초교 길목에 ‘제일목욕탕’이 자리 잡았으나 지금은 모두 문을 닫았다.


 1965년 주내면 인구는 22,499명으로 2020년 현재 13,465명보다 9,000여 명이 더 많았다. 당시에 사람들이 용주골로 몰려든 까닭은 여기에 ‘RC1(Recreation center)’으로 불렸던 미군 휴양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미군 휴양소에는 돈이 될 만한 미제 물품이 쏟아져 나와 전국에서 몰려드는 상인들로 경제적 호황을 누렸다. 파주시에는 이런 미군 휴양소가 파주읍 연풍리 용주골(RC1), 법원읍 웅담리(RC2), 진동면 동파리(RC3), 문산읍 선유리(RC4) 등 4곳에 있었다.



 용주골이라는 이름은 ‘반룡산 아래 큰 연못이 있었는데, 어느 날 천둥벼락과 함께 폭우가 쏟아져 연못의 물이 솟구치면서 용이 승천했다 하여 용짓골이라 불렸고, 이후 용짓골이 변하여 용주골이 됐다.’라고 전해지고 있다. 집창촌이 있는 대추골은 집집마다 대추나무가 많아 대추골로 불리다가 집창촌을 빗대 대추벌로 불리고 있다.


 미군들이 미국에 돌아가 한국을 말할 때 서울은 몰라도 용주골은 기억한다는 말이 전해질 정도로 용주골은 군사분계선을 코앞에 둔 경기북부 주둔 미군들의 위안을 담당했던 곳이다. 그런 까닭에 용주골은 미군 위안부 역할을 한 소위 ‘양공주’와 비슷한 의미로 인식되면서 ‘용이 승천해 용주골이 됐다’는 옛 지명과는 달리 한국전쟁의 상흔과 폭력적 군사문화의 폐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되었다.



 문화목욕탕은 여탕이 남탕보다 갑절 더 넓다. 문화목욕탕 사위 유광현 씨는 “남자들은 요 앞 갈곡천 개울에서 그냥 씻었다. 게다가 지역 주민들은 설날이나 명절 때 차례용 목욕을 연례행사로 했던 터라 대부분 손님은 대추벌 여성들이었다. 그리고 남탕보다 여탕이 훨씬 넓었던 것은 여자는 보통 서너 시간씩 목욕을 하는 바람에 기다리는 사람을 모두 수용하려면 넓을 수밖에 없었다.”라고 말했다.


 대추벌 여성들은 현재 약 200여 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문화목욕탕은 2013년 3월 문을 닫았다. 그 번성했던 파주읍엔 현재 목욕탕이 한 곳도 없다.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인권침해 진정에 대한 파주시 입장문을 보며…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가 18일 파주시의 강제 철거에 따른 인권침해를 호소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파주시는 곧바로 불법적이고 반인권적인 성매매 행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는 입장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그런데 파주시가 입장문에서 언급한 2023년 국가인권위 발간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에서는 ‘성매매 여성을 성매매 종사자나 여종업원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성매매가 마치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간주될 위험이 있어 성매매피해자 등으로 표현할 것을 권고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인권위 권고는 표현에 따라 성매매가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는 것이지, 성매매 여성의 인권을 침해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설립된 유엔여성기구는 “성매매와 성노동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이다. 유엔의 역할은 모든 여성이 폭력, 학대, 착취, 차별, 낙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주거권 보장 없이 진행되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철거에 우려를 표했다. 그리고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사자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특히 성노동과 성매매 정책은 반드시 해당 개인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