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일반

‘제5회 파평 코스모스 축제’9월 10~11일 개최

파평주민자치위, 진정한 주민 주도형 지역축제로 성대히 마련


파주시의 대표축제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제5회 파평 코스모스 축제’가 오는 9월 10일과 11일 양일간 파평면 율곡리 율곡습지공원에서 성대히 펼쳐진다.
율곡 이이선생과 우계 성혼선생의 자취가 살아있는 문향의 고장인 파평면을 널리 알리고 면민 화합을 위해 개최되는‘제5회 파평 코스모스 축제’는 무더위에 지친 시민들에게 청명하고 아름다운 가을밤의 추억과 낭만을 선사한다.
‘제5회 파평 코스모스축제’는 2만평 코스모스 꽃밭과 연꽃 군락지, 야생초, 억새가 만개해 가을 분위기를 만끽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아 가족단위 방문객들의 많은 방문이 예상되고 있다.
축제는 10일 12시부터 율곡습지공원 중앙무대에서 펼쳐지는 예술동호회 공연을 시작으로 25사단 군악대 공연, 밤고지 난타가 식전행사로 진행되며 오후 4시부터는 이재홍 파주시장 등 내빈과 시민 등 2000여명이 참석하는 화려한 개막식이 열린다.
이어 오후 5시부터는 초청가수 공연과 함께 파평면 각 마을 주민 대표가 참가하는 멋진 노래자랑과 푸짐한 경품추첨 순서도 마련되어 있다.
둘째날인 11일 오후 1시부터는 섹스폰 연주, 영남사물놀이, 주민자치위원회 동아리와 DMZ밴드 공연, 찾아가는 음악회가 진행돼 뮤지컬, 혼성중창 공연 등이 펼쳐지며 다함께 즐기는 가을밤의 불꽃놀이 진행으로 2일간에 걸친 대단원의 막이 내려진다.
이외에도 행사장내 체험 및 전시행사로 케리커쳐, 페이스페인팅, 클레이아트 수공예품 만들기, 가훈써주기, 곤충전시, 군부대 화포전시, 허수아비를 내손으로 만들어 보고 파주특산물도 얻어 갈 수 있는 체험공간도 마련 될 예정이다.
이춘화 주민자치위원장은 “이번 코스모스축제는 주민자치위원회가 한마음이 되어 기획하는 진정한 주민 주도형 지역축제로 마련했다”며 “오는 9월 10~11일 율곡습지공원에 가족과 함께 참석해 활짝 핀 코스모스도 보고, 다양한 공연도 함께 즐겨달라”고 말했다.
김현철 파평면장은‘제5회 파평 코스모스축제’에는 “먹거리, 즐길거리, 볼거리가 가득한 다채로운 체험형 행사로 마련됐다”며“이번 축제를 통해 파평주민 스스로의 긍지를 높이고 단합된 힘을 모아 슬로우 시티, 관광 파평으로 발돋음 하는 계기 마련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축제장 교통편은 승용차 또는 버스 92번(적성-고양 강선마을 노선), 95번(문산-전곡 노선)을 이용 율곡습지공원에 하차 하면되고 관람료는 무료. 이번 ‘제5회 파평 코스모스축제’와 관련 자세한 내용은 파평면사무소로 문의(031-940-8163)하면 된다.

 
 


관련기사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기자회견 “성매매집결지 예산 삭감하라.”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연대 차차’ 등 여성단체 활동가 40여 명은 9일 오전 파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주시의 성매매집결지 예산 68억은 성매매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것’이라며 규탄했다. 자작나무회 대표 별이 씨는 성매매집결지 건축주의 배만 불리는 파주시의 정책을 비판하며 성노동자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성매매업소 건물주들은 업주들에게 오랜 기간 높은 임대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이에 더해 파주시는 성매매집결지 폐쇄라는 김경일 시장의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시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건물과 토지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건물 안에서 살아온 세입자와 성노동자들은 이주보상대책 하나 없이 내쫓기고 있는 실정입니다. 김경일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이번에 편성된 68억 원까지 더하면 건물 매입 비용만 100억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 대추벌이 폐쇄됐습니까? 시민의 혈세가 끝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추벌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성노동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이주대책이 단 한차례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자작나무회는 분명히 말합니다. 성노동자들과 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