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3℃
  • 맑음강릉 9.4℃
  • 맑음서울 13.7℃
  • 맑음대전 11.7℃
  • 맑음대구 16.5℃
  • 맑음울산 13.9℃
  • 맑음광주 11.3℃
  • 맑음부산 18.1℃
  • 맑음고창 8.2℃
  • 맑음제주 12.9℃
  • 맑음강화 12.9℃
  • 맑음보은 9.9℃
  • 맑음금산 11.2℃
  • 맑음강진군 11.9℃
  • 맑음경주시 14.1℃
  • 맑음거제 15.6℃
기상청 제공

사회

해외 입양 혼혈인 ‘엄마의 품’ 찾아 눈물

파주 출신 혼혈인 옛 기지촌 돌며 어머니 향수 느껴


한국전쟁과 함께 생긴 기지촌에서 태어나 해외로 입양된 아메라시안(아시아 여성과 미군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인) 30여 명이 4일 파주시가 조리읍 봉일천리에 조성중인 ‘엄마의 품 동산’을 찾았다.
 
이들은 파주시 공무원으로부터 엄마의 품 동산을 만들게 된 취지와 추진 일정을 듣고 박수를 치거나 감사의 눈물을 흘리기도 했으며, 아버지가 사용했을 미군부대 건물 구석구석을 살펴보며 사진을 찍었다.
 
‘엄마의 품 동산’은 이재홍 파주시장이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열린 한국의 캠프타운 컨퍼런스에 공무원을 보내 한국전쟁의 아픔과 함께 해외로 입양된 혼혈인의 오래된 상처를 치유하고 모국의 정을 느낄 수 있도록 ‘엄마의 품’을 만들겠다는 영상 제안을 하면서 시작됐다. 현재 파주시는 8억 원을 들여 12월 말 완공 예정으로 미군 반환공여지인 조리읍 봉일천리 ‘캠프 하우즈’ 61만800㎡에 1천㎡ 규모로 ‘어머니의 품 동산’을 조성하고 있다. 

 파주 출신 혼혈입양인 심상호(미국명 로웰 로혼 · 62) 씨 등 4명은 7일 어머니의 흔적 찾기에 나섰다. 심 씨는 1955년 3월 파주시 법원읍 금곡리 7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1930년 12월 21일생 ‘심형숙’으로 기억하고 있다.

 이날 심상호 씨는 어머니와 함께 생활했던 최칠성(83) 씨를 만났다. 최 씨가 심 씨의 어머니를 또렷하게 기억하는 것은 아니지만 50년대 당시의 고단한 기지촌 생활과 자식을 해외로 입양시켜야만 했던 아픔을 전해들을 수 있었다. 60여 년 만에 모국을 찾은 심 씨는 논밭으로 변해버린 기지촌에 서서 연신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한편 1966년 3월 파주시 조리읍 오산리 140번지에서 태어난 안준석(미국명 스티브 워커 · 52) 씨와 1957년 7월 파주읍 파주리 470번지에서 태어난 이영순(미국명 다이애나 홀드 · 61 여) 씨, 그리고 이번 ‘모자이크 하파 투어(Mosaic Hapa Tour)’의 막내인 백수지(46 · 여) 씨 등은 파평면 장파리를 방문, 친엄마 찾기에 나섰으나 만남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용남 선임기자

관련기사


오늘의영상





성노동자 인권침해 진정에 대한 파주시 입장문을 보며… 대추벌 성노동자모임 자작나무회가 18일 파주시의 강제 철거에 따른 인권침해를 호소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파주시는 곧바로 불법적이고 반인권적인 성매매 행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는 입장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그런데 파주시가 입장문에서 언급한 2023년 국가인권위 발간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에서는 ‘성매매 여성을 성매매 종사자나 여종업원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성매매가 마치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간주될 위험이 있어 성매매피해자 등으로 표현할 것을 권고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인권위 권고는 표현에 따라 성매매가 합법적 직업인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는 것이지, 성매매 여성의 인권을 침해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설립된 유엔여성기구는 “성매매와 성노동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이다. 유엔의 역할은 모든 여성이 폭력, 학대, 착취, 차별, 낙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주거권 보장 없이 진행되는 대추벌 성매매집결지 철거에 우려를 표했다. 그리고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사자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특히 성노동과 성매매 정책은 반드시 해당 개인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